책소개
증권화.구조화에 관한 이론과 현실을 함께 다룬 책으로, 증권화.구조화 상품 및 시장에 관한 통계자료를 많이 수록하였다. 국내외 시장의 장기 추이와 최근 동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표를 작성하였고, 처음 출시되었거나 사례연구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상품의 발행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복잡한 증권화.구조화 상품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과 표를 많이 사용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1 부동산금융이란 무엇인가
1.2 부동산 증권화·구조화금융이란 무엇인가
1.3 부동산 증권화 기장의 규모는 얼마나 큰가
제1부 증권화·구조화 관련 법률과 제도
제2장 증권화·구조화 관련 법률
2.1 증권화 촉진에 관한 법률
2.2 증권화에 관한 법적 이슈
2.3 증권화에 관한 법적 특례
제3장 증권화·구조화 관련 자본규제 제도
3.1 BIS 자본규제 제도의 개관
3.2 바젤II와 증권화 프레임워크
3.3 금융위기 이후 자본규제 동향
제4장 증권화·구조화 관련 회계처리 제도
4.1 자산보유자의 회계처리 제도
4.2 유동화전문회사의 회계처리 제도
4.3 IFRS의 건설업 및 증권화에 대한 영향
제5장 증권화·구조화 관련 신탁, 자산관리 및 업무수탁 제도
5.1 증권화 관련 신탁 제도
5.2 증권화 관련 자산관리 제도
5.3 증권화 관련 업무수탁 제도
제6장 증권화·구조화 관련 신용보강, 신용평가 및 정보공시 제도
6.1 증권화·구조화 관련 신용보강 제도
6.2 증권화·구조화 관련 신용평가 제도
6.3 증권화·구조화 관련 정보공시 제도
제 2 부 모기지론의 증권화·구조화 상품
제7장 모기지론의 개관
7.1 모기지론의 개념과 유형
7.2 모기지론의 취급기관과 대출심사
7.3 모기지론의 주요 상품과 시장
제8장 모기지론의 현금흐름
8.1 원리금 상환방식별 현금흐름
8.2 조기상환과 현금흐름의 변화
8.3 채무불이행과 현금흐름의 변화
제9장 주택저당증권(MBS)의 개관
9.1 MBS의 개요
9.2 MBS의 발행
9.3 외국의 MBS 발행·보증기관
9.4 우리나라의 MBS 상품 및 시장
제10장 모기지 지분이전 증권(MPTS)
10.1 MPTS의 발행금액 결정
10.2 MPTS의 수익률 분석
10.3 MPTS의 리스크 분석
제11장 모기지 담보부 다층채권(CMO)
11.1 CMO의 개관
11.2 공공기관 CMO의 다양한 구조
11.3 비공공기관 CMO의 신용보강 방법
제12장 담보부채권(CB) 및 모기지담보부채권(MCB)
12.1 CB 및 MCB의 개관
12.2 CB 및 MCB의 특징과 발행구조
12.3 CB 및 MCB의 상품 및 시장
제 3 부 모기지론이외 부동산자산의 증권화·구조화 상품
제13장 상업용부동산저당증권(CMBS)
13.1 상업용부동산저당대출(CML)
13.2 상업용부동산저당증권(CMBS)
13.3 CMBS의 현금흐름과 신용리스크
13.4 CMBS의 상품 및 시장
14장 부동산 PF 대출의 증권화 상품
14.1 부동산 PF 대출의 개관
14.2 부동산 PF 대출의 현금흐름과 리스크
14.3 부동산 PF 대출의 증권화 상품 , 사례 및 시장
제15장 부동산 관련자산의 증권화 상품(부동산 ABS)
15.1 기존 상업용 부동산의 증권화 상품
15.2 신규 부동산 개발관련채권의 증권화 상품
15.3 준공 후 미분양 아프트의 증권화 상품
15.4 부동산관련 기타자산의 증권화 상품
16장 부동산관련 재증권화 상품(부동산관련 CDO)
16.1 CDO의 개관
16.2 CDO의 발행구조
16.3 CDO의 자산선정 및 관리
16.4 부동산관련 CDO시장
17장 부동산투자회사 주식(REIT)
17.1 부동산투자회사(REIT)의 개관
17.2 우리나라의 리츠 제도
17.3 우리나라의 리츠 상품과 시장
18장 부동산 펀드
18.1 부동산 펀드의 개관
18.2 부동산 펀드의 운용
18.3 부동산 펀드의 상품 및 시장
부록
10-1 국고채의 액면수익률과 현물수익률의 관계
10-2 이자율 리스크 측정과 관련된 수식의 도출
10-3 은행의 구조화 CB 발행을 위한 모범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