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저자의 글 -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 전통마을
총론 전통마을을 보는 네 가지 시선
1 마을공간에 깃든 정신
2 마을에서 읽는 우리 문화
3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공동체
4 마을에 담긴 환경친화성의 지혜
1 옻골마을 - 자연에서 찾은 공간 만들기의 단서
대도시에 살아남은 오래된 삶터
광역 경영의 베이스캠프
광역경영자, 백불암
산 사람 죽은 사람이 모두 옻골에 모이다
정려각을 기준으로 나뉜 개인과 공동체
같은 이름으로 연결된 계곡과 정자
마을은 뒷산의 혹으로 통한다
축이 만든 질서
옻골의 상징, 백불고택
동기가 다르면 결과도 다르다
2 한개마을 - 선비정신이 살아 있는 공간미학
감응사에서 내려다본 한 개마을
한개마을은 한 개가 아니었다
벼슬보다 이름을 중시한 선비의 마을
제사와 공부를 한곳에서
마을과 집을 이어주는 길
여성이 드러나지 않게
그러나 당당한 여성공간
담과 건물의 이중주
겸손한 마을의 기준, 한주종택
집 속의 집
새로운 도전인가, 자본주의의 산물인가
3 낙안읍성 - 조상들이 생각한 지방도시의 원형
낙안읍성은 도시인가?
폭넓은 시각에서 본 도시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권위의 상징, 객사와 동헌
의례와 생활의 중심축
공과 사의 조화로운 공존
시장은 성안에, 향교는 성 밖에
뜻밖의 장소에 자리 잡은 옥
샘과 미나리꽝
읍성 대 향촌
옛 도시의 주거 디자인
과거의 도시가 현재의 시골로
정신은 떠나고 물질만 남은 현대 도시
4 성읍마을 - 토속 주거에 깃든 평등한 삶
물이 있는 곳에 마을도 있다
행정 중심지가 된 중산간마을
육지 마을과 다른 공간의 얼개
특이한 이름들
고리형 길과 올레
행정 중심지의 집들은 다르다
돌과 바람이 빚어낸 토속 주거지
마을에 자리한 토속신앙의 장소
평등한 주거공간
고부간의 갈등이 없다
5 하회마을 - 양반과 평민이 공존하는 문화공간
강이 만들고 사람으로 유명해진 마을
쉽게 파악되지 않는 마을
하회마을을 보는 세 단계
겸암과 그의 공간
서애와 그의 공간
형제 건축의 미묘한 차이
마을 사람 모두의 공간, 삼신당
자면서도 먹으면서도 배운다
6 강골마을 - 근대와 한옥의 오래된 만남
근대의 추억
보성, 차 그리고 수입된 근대
근대 주거건축이 싹트다
전통마을에서 근대 마을로
근대 한옥의 탄생, 부농의 집
안채와 안마당의 변신
새로운 아이디어를 담은 한옥의 유형들
장식은 죄악이다?
열화정은 왜 마을 뒤로 갔을까?
꺼져가는 마을
7 양동마을 - 경쟁과 조화가 만들어온 아름다운 전통건축
지형과 리듬
두 줄기의 사람들
마을의 기본 얼개: 지형과 길
큰길: 슬픈 일제의 축
뒷길: 양동을 입체적으로 보는 길
변증법적 사회학 하나: 신분 차이와 마을 경관
변증법적 사회학 둘: 안골과 물봉의 대립과 공존
가문의 공동성: 안대와 정자
두 문중의 갈등과 생산적 경쟁
보물이 된 양동의 한옥들
마을 주변 이야기들
8 도래마을 - 사회관계와 자연조건의 결합
지형 조건: 마을 공간구조의 출발점
동성과 타성
마을의 네트워크: 일상적ㆍ비일상적 관계 맺기
자연조건과 사회관계: 파(派)-지형-조경
안길: 정자-마을마당-종가(주산)를 잇는 축
남녀노소가 이용하는 도래의 정자들
양벽정과 계은정: 마을과 지역의 연결고리
사라진 종가와 남은 한옥들
주택 사이의 분리와 통합
9 닭실마을 - 공동체를 위한 자기 조절과 그 속에 숨은 질서
개인과 공동, 경쟁과 조화
자연 속 조화의 비밀, 황금비
가장 불합리한 수의 합리성
하늘이 내린 삶터
지형에 맞춰 노래하는 집들
서로 양보하여 조망과 일조를 골고루 얻다
자연스러움 속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등각나선을 이용한 닭실마을 읽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두 가지 방식
미래를 위한 조화의 질서
10 원터마을 - 역사에서 얻은 환경친화적 해법들
역사의 소용돌이를 견뎌온 마을의 뼈대
환경친화적 해법 하나: 자연조건에 대한 적응 능력
환경친화적 해법 둘: 자원의 순환
환경친화적 해법 셋: 에너지 절감 시스템
11 외암마을 -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외암마을의 과거와 현재
자연환경: 산과 물
마을의 공간구조: 길과 집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하나: 상징성과 실용성을 갖춘 물길
부족함을 극복하는 지혜 둘: 아늑한 주거지를 만드는 녹지체계
자연친화적인 건축공간과 재료
12 왕곡마을 - 지속가능한 거주공간을 찾아서
예상하기 힘든 곳에 자리 잡은 은거지
분단과 전쟁으로 시작된 위협
새로운 위협, 산불
위기를 넘기고 지속하는 마을
다섯 영역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마을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다
한 몸을 이룬 채와 비밀스런 뒷마당
대대로 이어져온 겹집
특색 있는 마구의 디자인
사회적 지속가능성: 두 성씨의 공존
두 아웃사이더의 삶
경제적 지속성의 표지들
전통마을에서 만난 근대와 탈근대
보존에서 보전으로
■ 키워드로 읽는 마을 답사 노하우
■ 본문의 주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