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근대'와 '디아스포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재봉 교수의 <한국 근대문학과 문화체험>. 1부 '근대적 시공간과 문학장', 2부 '근대, 근대문화, 글쓰기'로 구성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부 근대적 시공간과 문학장
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1. 지리적 상상력과 지식의 근대 기획
2. 근대의 지식 체계와 그 배치
3. 현미경·망원경·내시경, 근대의 지식과 그 욕망의 배치
4. 새조선의 기획과 지식의 담론 형태
근대적 ‘시간’관념과 문학의 존재방식
1. 근대 시간과 문학 환경
2. 근대의 시간과 독자의 탄생
3. 시간과 문학, 근대문학의 존재방식
3. 시간성과 문학의 자의식
근대 사적 공간과 문학의 내면 공간
1. 사적 영역, 공적 영역
2. 기숙사·하숙방의 등장과 사적 공간
3. 하숙방이라는 문학 공간, 근대문학의 공간 분할
4. 재배치되는 문학 공간
한국 근대소설에서 인생과 생활의 발견
1. 문학의 근대성
2. 근대 매체와 서사양식
3. 1910년대 소설에 구현된 인간과 생활
4. 구체적 삶과 문학
제2부 근대, 근대문화, 글쓰기
서간의 형식과 고백의 형식
1. 서간이라는 양식
2. 근대 지식인와 서간의 재발견
3. 서간과 소설형식, 근대 문학에서 고백의 특징
4. 사적 영역, 공적 글쓰기
문명의 욕망과 왜곡된 근대
1. 박람회라는 문명
2. 근대라는 욕망과 박람회의 정치학
3. 박람회와 균열하는 근대 욕망
4. 박람회, 엇갈리는 시선
근대계몽기 신문 매체와 근대의 글쓰기
1. 근대 매체와 글쓰기
2. 근대계몽기 ‘국문’ 논리와 문제적 특징
3. 정치의 결합과 비꼼의 어투
4. 매체와 글쓰기
“내지(內地)”의 논리와 근대 초기 조선의 글쓰기
1. 근대 문학과 ‘조선’이라는 층위
2. 뒤바뀌는 안과 밖 - 내지(內地)와 외지(外地)
3. 문명과 문학, 근대 초기 ‘안’으로의 여정과 글쓰기의 특징
4. 망명지의 논리와 서사의 방향
간접적 근대체험과 서사의 화법
1. 『매일신보』의 단편
2. 1910년대 실력양성론과 ‘돈’의 논리
3. 간접적 근대경험과 ‘돈’의 서사화 방식
4. 『매일신보』 단편의 근대성
근대적 욕망의 추구와 서사화 방식
1. 고학생이라는 모티프
2. 부르주아적 소유 관념과 근대의 꿈
3. 근대 담론의 확산과 서사적 전략
4. 고학생의 근대적 욕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