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 교육사회학의 흐름과 쟁점을 아우르는 교육사회학 개론서. 옥스퍼드대학교의 명예교수인 앨버트 헨리 할지 교수와 그의 학문적 동료들이 펴 내 오랜 기간 찬사를 받아온 명저 세 권의 서문을 모은 것이다. 기능론, 갈등론, 인적자본론,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등 교육을 둘러싼 여러 접근들을 개괄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물론 당대의 시대정신과 교육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더 나은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편역자의 글
제1부 교육에서의 권력과 이데올로기: 1960~1970년대 / J. 카라벨, A. H. 할지
1. 교육연구의 사회학
기능주의
인적자본론
방법론적 경험주의와 불평등에 대한 논쟁
블라우와 덩컨의 『미국의 직업구조』
콜먼 보고서
크리스토퍼 젠크스와 『불평등』
현장참여연구
갈등론적 교육이론
신베버적 갈등이론
신마르크스주의 갈등이론
교육변동의 문제
‘신’교육사회학
해석학적 비판의 사회적 기원
신교육사회학에 대한 초기 평가
2. 교육연구의 미래
번스틴, 새로운 이론종합의 선구자?
뒤르켕의 기여 : 재평가
교육연구의 딜레마
제1부 참고문헌
『교육에서의 권력과 이데올로기』 목차
제2부 교육, 문화, 경제 그리고 사회: 1980~1990년대 / P. 브라운, A. H. 할지, H. 로더, A. S. 웰스
1. 경제 민족주의의 성립: 1945~1973년
교육과 경제민족주의
경제민족주의의 붕괴
2. 교육과 글로벌 경제: 새로운 컨센서스
교육과 경제생산성: 새로운 컨센서스에 대한 문제 제기
학력 인플레이션과 사회적 갈등
사회적 갈등과 숙련기술의 성격 변화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서의 젠더와 숙련기술
교육과 사회적 통제
사회변혁, 그리고 투쟁의 무대로서의 교육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름의 문화정치학
사회계급과 교육
젠더와 교육
탈식민 사회의 교육
3. 교육의 구조개혁
신우파의 정치경제학
교육의 시장개혁
시장화, 평등 그리고 민주주의
교직에 미친 구조개혁의 영향
교육에서의 ‘자유’시장과 강한 국가
4. 교육, 불평등 그리고 사회정의
교육의 부르주아화와 자유주의 이론
마셜이론의 재조명
5. 사회변화의 결정론과 개방성
평등의 장애물 1: 불가피한 직업의 위계구조
평등의 장애물 2: 학교교육의 중요성
평등의 장애물 3: 유전자 분포
6. 새로운 정치산술을 위한 논의
제2부 참고문헌
『교육과 문화, 경제 그리고 사회』 목차
제3부 교육, 글로벌화 그리고 사회변화: 1997년 이후 / H. 로더, P. 브라운, J.-A. 딜라보, A. H. 할지
1. 들어가면서
전 지구적 재앙을 예고하는 기술적·경제적 힘에 대한 통제
번영의 역설
기회의 함정
2. 산업사회의 교육
합의론적 접근
갈등론적 접근
포스트구조주의 사회사상: 사회화에서 정체성으로
젠더와 교육
민족국가, 종족성 그리고 교육
3. 개인화와 글로벌화의 이중 도전
개인화
개인화, 가족 그리고 아동기
개인화와 시장개인주의
글로벌화
교육과 글로벌화
글로벌화의 추진동력
다자 기구와 교육
글로벌화와 기준의 벤치마킹
글로벌화와 교육에 대한 도전
교육시스템에 미친 글로벌화의 영향
4. 교육과 민족국가의 재창조
신자유주의 국가와 글로벌 경쟁력
교육이 경제 경쟁력의 핵심이라는 관점
고용가능성과 국가학습이론
5. 결론: 비전 2020
교육, 테크놀로지 그리고 글로벌화
시민성 교육의 전망
교육사회학을 다시 생각한다
제3부 참고문헌
『교육, 글로벌화 그리고 사회변화』 목차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