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서문: 과학자와 리더십
과학자도 리더십이 필요할까? | 왜 여성이 과학 리더가 되어야 하나? | 이 책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 이 책은 누구를 어떤 방법으로 탐구했나?
I. 여성 노벨상 수상자 탐구
1. 그들은 누구인가?
여성 노벨상 수상자와 수상을 놓친 이들 | 국적도 수상에 영향을 미칠까? | ‘중산층 백인 부모’의 신화, 어디까지 진실일까? | 어릴 때 과학에 입문할수록 성공 가능성이 높다? | 성격이 직업을 결정할까, 취미가 직업을 결정할까?
2. 세계적 여성 과학자의 리더십
여성 과학자의 꿈과 꿈 너머 꿈 | 여성 과학자의 개인 리더십 역량 | 여성 과학자의 업무 수행 리더십 역량 | 여성 과학자의 대인 관계 리더십 역량 | 여성 과학자의 조직 리더십 역량
3. 여성 과학자의 리더십은 어떻게 다른가?
과학자의 결혼은 축배일까, 독배일까? | 자녀 양육, 어떻게 했을까? | 성정체성, 과학자에게도 필요할까? | 차세대 과학자에게 들려주는 조언
II. 한국 여성 과학자의 리더십
1. 여성과 남성 과학기술인의 공통점
높은 교육 수준 | 열정과 높은 만족감 | 호기심과 창의력, 도전 정신 | 다양한 취미와 재능 | 뒤늦게 만난 멘토 | 전공에 관련된 폭 좁은 이해
2. 여성과 남성 과학기술인의 차이점
겸손함과 자신감 | 부모와 가정의 영향 |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 | 멘토와 리더십 | 성정체성과 여권 의식
III. 여성 과학자의 리더십 모형
1. 글로벌 리더십 모형
리더십 연구의 흐름 | 글로벌 리더십 모형의 구성 | 글로벌 리더십 역량 모형: 균형의 모형
2. 여성 리더십 모형
여성과 리더십, 그리고 여성적 리더십 | 여성 리더십은 남성 리더십과 다른가? | 여성 리더십 모형의 핵심 주제-여성 과학자는 닮았다? | 여성 리더십, 환경에 따라 다르다?
IV. 차세대 글로벌 여성 과학자, 어떻게 키워야 할까?
1. 왜 여성 과학자는 희소한가?
2. 한국에도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려면?
3. 과학 한국을 위한 전략과 실천 과제
과학 진흥을 위한 정부의 무한 책임 | 학교가 변해야 과학 교육이 산다 | 대학이 사회 문화 혁신을 선도해야 한다 | 교육의 어머니, 가정교육이 중요하다 | 여성 과학자 단체에 바란다
에필로그
미주
참고 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