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개리 레드야드 명예교수가 쓴 책. 이 책을 집필한 1994년 당시까지 한국과 일본, 구미학계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한국 지도학의 발달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은 서구 학계에 우리 전통 지도학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저자의 폭 넓은 시야와 객관적인 시각은 우리 옛 지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목차
한국어판에 부쳐
일러두기
들어가는 말
한국의 고지도 연구
1. 15세기 이전의 한국 지도
한국의 고대 국가와 지도
고려 왕조와 지도
2. 세계지도와 동아시아 지도
조선의 건국
1402년의 세계지도
<강리도>의 세계 표현
18세기의 지구의
동양과 서양의 만남
한국의 불교식 지도 전통
대중적인 원형 <천하도>의 전통
<천하도>의 기원과 『산해경』
<천하도>와 불교의 관계
<천하도>의 기원에 관한 또 다른 설
한국에서 제작한 중국 지도
한국에서 제작한 일본 지도
3. 지도 제작 기술의 토대
지리 연구
한국의 풍수지리- 땅의 모양과 힘
조선 초기의 지도 제작과 풍수지리
조선 초기의 길이 표준과 측량
4. 전국 지도
<강리도>의 한국 지도
정척 유형의 지도
동람도 유형의 지도
조선, 예수회, 지도 외교
조선에 대한 강희제의 관심
정상기 유형의 지도
정상기 유형의 지도와 측지 좌표
김정호의 초기 지도
《청구도》의 기술적 토대
《대동여지도》의 탄생
5. 고을 지도, 지역 지도, 국방 지도
지방지도
서울 지도와 평양 지도
국방지도
나오는 말 | 한국 지도의 역사적ㆍ사회적 위치
옮긴이의 말 |우리 옛지도에 대한 서구 학자의 진지한 지적 여정
부록 |
한국학계의 지도 연구 논저 목록
판본 현황
국가지정문화재 중 고지도 현황
참고문헌
개리 레드야드 교수의 저작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