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본 근대의 스승'으로 추앙받는 일본의 대표적인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 마루야마 마사오는 메이지유신 당시 후쿠자와가 일본을 '국민국가'로 만들고, 그리하여 '주권국가'로 만드는 두 가지 과제를 추구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과연 후쿠자와의 본모습일까? 저자는 진정한 후쿠자와의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 다름 아닌 후쿠자와의 텍스트들에 정면 도전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서장 후쿠자와 유키치 연구의 7대 불가사의
1. 정치 바깥의 천황 vs 친정親征하는 천황
2. “일신독립=일국독립”의 본뜻
3. 후쿠자와의 상황적 사고와 발언
4. 대상에 대한 내재화의 태만―학문적 과정으로부터의 일탈
5. 후쿠자와는 ‘원칙이 있는 철학가’인가
6. 빌려온 수식어―“하늘은 사람 위에 사람을 만들지 않고 사람 아래 사람을 만들지 않는다.”
7. 일본 근대화의 스승, 혹은 가증스런 민족의 적
제1장 초기 계몽기 후쿠자와 유키치의 국제관계인식―마루야마 마사오의 ‘후쿠자와 유키치론’을 검토하다
1. 방약무인, 약자에 대한 횡포, 무정잔혹, 힘이 곧 정의이다
2. 초기 계몽기의 국제논쟁―대만 출병과 강화도사건
3. 아편전쟁의 인식과 평가―중국의 민족적 영웅 임칙서에 대한 비난
4. 메이지 정부와 후쿠자와의 관계―초기 계몽기 후쿠자와 사상의 정리와 평가
제2장 중기의 후쿠자와 유키치, 보수사상의 확립―임오군란, 갑신정변, 탈아론
1. 보수사상으로의 과도기―통속국권론과 민정일신
2. 보수사상의 확립―시사소언과 제실론
3. 임오군란갑신정변과 후쿠자와 유키치
4. 아시아 멸시사상과 문명사관에 의한 침략의 합리화, 탈아론
5. 청일전쟁으로 가는 길은 불가피했나
제3장 청일전쟁기의 후쿠자와 유키치―조선 왕궁 점령여순 학살사건 민비살해 대만정복전쟁
1. 후쿠자와 유키치의 전쟁 캠페인―‘거류민 보호’라는 구실
2. 다시 ‘문명사관’에 의한 침략의 합리화
3. 조선의 자립독립을 위해서라는 구실
4. 아시아에 대한 멸시편견마이너스 평가의 무차별 방류
5. 전쟁 승리에 대한 열중열광―전쟁보도의 나쁜 전통
6. 일관된 군비확대 요구
7. 메이지 천황의 적극적 전쟁지도와 그 찬미―야스쿠니사상
8. 대만정복전쟁, 무단적 식민지배와 후쿠자와 유키치
9. 저널리스트 후쿠자와의 은폐보도―조선왕궁점령, 여순운림학살사건, 민비살해
제4장 아시아 태평양 전쟁으로 가는 길―후쿠자와 유키치가 깔아놓은 ‘어두운 쇼와’의 궤도
1. 말년의 후쿠자와 유키치
2. 아시아태평양전쟁으로 가는 길―‘밝지 않은 메이지’에서 ‘어두운 쇼와’로
3. 전쟁책임의 관점에서 학문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다
마무리글
역자 후기
추천사―후쿠자와 유키치의 동아시아 침략사상을 바로 알기 위하여
부록
주석
후쿠자와 유키치 아시아인식의 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