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학정치론
서문
제1장 예언에 대하여
제2장 예언자에 대하여
제3장 이스라엘인들의 소명에 대하여: 예언능력이 이스라엘인들에게만 특별한 것이었는가의 여부
제4장 신법에 대하여
제5장 종교의식에 대하여
제6장 기적에 대하여
제7장 성서 해석에 대하여
제8장 ‘모세오경’과 『구약』에 나오는 역사서의 권위에 대하여
제9장 『구약』과 관련된 추가적 문제제기: 에스라가 그것을 최종적으로 완성했는가 그리고 히브리 어 판 성서에서 발견되는 난외欄外주는 원문과 다른 사본인가의 여부에 대하여
제10장 『구약』의 나머지 책에 대한 검토
제11장 사도는 서한을 예언자의 자격으로 썼는가 아니면 교사의 자격으로 썼는 가에 대한 검토: 사 도의 의미에 대하여
제12장 신법의 진정한 원본에 대해서: 어떤 점에서 성서는 신성하다고 할 수 있으며 신의 말씀으로 불려질 수 있는가의 이유에 대해서
제13장 성서는 인간이 올바르게 살아가는 데 무엇이 필요한가와 같은 단순한 교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증명
제14장 신앙과 신도 그리고 철학과 분리된 신앙의 근본 원리에 대한 정의
제15장 신학은 이성에 종속되지 않으며 이성도 신학에 종속되지 않음을 증명한다: 우리로 하여금 성서의 권위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이성에 대한 정의
제16장 국가, 개인의 자연권과 시민권 그리고 최고 권력의 권리에 관하여
제17장 그 누구도 최고 권력에게 자신의 모든 권리를 양도할 수도 양도할 필요도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모세의 통치부터 군주정 설립 이전까지 고대 이스라엘국가에 대한 설명과 신정국가의 번영 원인 및 신정국가의 몰락이 불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하여
제18장 고대 이스라엘국가의 역사로부터 도출되는 몇 가지 정치 원리
제19장 종교 문제에 관한 권리는 전적으로 주권자에게 부여되며, 신을 올바르게 섬기고자 한다면 종교가 외적으로 표출되는 예배 형식은 공적 평화와 일치해야 한다는 명제에 관한 증명
제20장 자유로운 국가에서는 모든 사람이 원하는 대로 생각할 수 있으며 생각한 대로 말할 수 있다
정치학논고
스피노자의 유고를 네덜란드에서 출간한 편집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자연권
제3장 최고 권력의 권리
제4장 최고 권력의 임무
제5장 최선의 국가상태
제6장 군주정의 제도적 기초
제7장 군주정의 이론적 기초
제8장 귀족정: 첫 번째 모델
제9장 귀족정: 두 번째 모델
제10장 귀족정의 역사적 제도
제11장 민주정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