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철학사> 3부작은 다음과 같은 구도를 취하려고 한다. 우선 철학이라는 행위가 주로 유라시아 대륙에서 진행되었고 근대 이전에는 동과 서의 철학 전통이 따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1권을 ‘지중해세계의 철학’에 그리고 2권을 ‘아시아세계의 철학’에 할애했다. 그 후 마지막 3권에서는 지리적 기준이 아니라 시대적 기준에 입각해 ‘근현대 세계의 철학’을 살펴보려 한다.
목차
여는 말
1부
1장 철학의 탄생
§1 '헬라스'라는 곳
§2 그리스의 역사: 체험과 표현
§3 정의를 찾아서
§4 철학의 탄생 설화
2장 퓌지스의 탐구
§1 '탄생'의 문제
§2 최초의 '철학자'들
§3 구체와 추상
§4 종교와 과학
§5 수학적 세계
3장 자연철학과 존재론
§1 '정신'의 발견
§2 생성의 로고스
§3 인식, 종교, 윤리
§4 '비판철학'의 등장
§5 일자(一者)의 존재론
§6 존재, 무, 생성
§7 엘레아학파를 넘어
4장 현상과 실재
§1 다자와 운동의 사유
§2 동인을 사유하다
§3 생명, 인식, 정화
§4 철학자들의 사표
§5 모나스/모나드
§6 이성적 세계관
§7 '원자'의 등장
§8 우발적인 세계
§9 인식과 윤리
5장 "너 자신을 알라"
§1 그리스의 계급 투쟁
§2 소피스트들의 등장
§3 고르기아스의 테제
§4 퓌지스와 노모스
§5 위대한 생애
§6 "그대의 영혼을 돌보라"
6장 이상과 현실(플라톤)
§1 '철학 체계'란 무엇인가
§2 플라톤: 서양 철학의 원점
§3 영혼으로서의 이데아
§4 진리로서의 이데아
§5 본(本)으로서의 이데아
§6 '폴리스'와 '폴리테이아'
§7 정의란 무엇이고 정의로운 국가는 어떤 국가인가
§8 다섯 가지의 정체
§9 통치자들을 어떻게 뽑을 것인가
7장 현실과 이상(아리스토텔레스)
§1 학문의 분류
§2 논리학의 창조
§3 개념과 판단
§4 분석론과 변증론
§5 퓌지스의 탐구
§6 운동의 설명
§7 탁월한 존재들: 우주, 신, 영혼
§8 가장 근원적인 물음: 존재 물음
§9 인간적인 행복의 추구
§10 현실 국가의 정치학
2부
8장 구원에의 갈구
§1 에피고넨의 시대
§2 회의주의의 발흥
§3 진정한 쾌락을 찾아서: 에피쿠로스학파
§4 그레코-로망 시대의 정수: 스토아철학
§5 로마 정신으로서의 스토아철학
§6 지중해세계의 종교사상들
9장 신과 인간 그리고 세계
§1 동방세계와 서방세계
§2 이슬람세계의 종교사상
§3 이슬람 철학의 성립
§4 이븐 루쉬드의 철학
§5 이슬람에서 서방으로
§6 스콜라철학의 도래: 존재론과 정치철학
§7 아리스토텔레스 혁명과 스콜라철학의 흥륭
§8 중세의 황혼
10장 '인간적인 것'의 발견
§1 국가의 탄생
§2 자본주의의 탄생
§3 인본주의의 발흥
§4 자아의 발견
§5 자연의 새로운 상(像)
맺는 말
인물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