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어우동, 장녹수, 혜경궁 홍씨, 허난설헌, 황진이 등의 여성 인물을 통해 만나는 조선 사회. 공적 공간에서 아웃사이더였으나 가족의 중심에 서 있던 여성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떤 방식으로 삶을 꾸려 나갔을까? '너머의 역사책' 4권으로, 조선 시대를 살았던 25인의 여성과 무명의 여성들에 대한 해석을 담았다.
목차
머리말│여성 인물을 통해 만나는 조선 사회
1부 논란의 중심에 선 여성들
1. 왜 어우동만 사형을 당했을까?
2. 9년 동안 이혼 소송에 시달린 여성, 신태영
2부 여성으로 산다는 것
1. 남편과 일상을 공유하다, 송덕봉
2. 남편의 첩 때문에 속을 끓이다, 신천 강씨
3. 공부가 즐거운 소녀, 이숙희
4. ‘자내’를 그리워하며 편지를 쓰다, 원이 엄마
5. 한글로 쓴 일기를 남기다, 남평 조씨
3부 학문하는 여성 계보
1. 허난설헌과 남편 김성립을 위한 변론
2. 삶이란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 김호연재
3. 사회적 유전자를 남기다, 임윤지당
4. 배 안의 열 달 기름이 10년 가르침보다 낫다, 이사주당
5. 부인 가운데 어찌 인재 없으리오, 이빙허각
6. 남편 대신 글을 짓다, 강정일당
4부 왕실 여성 다시 읽기
1. 『내훈』에 담긴 야망, 소혜왕후
2. 여종에서 후궁이 된 여성, 장녹수
3. 그대가 왕이 된 것은 나의 공이다! 문정왕후
4. 왕위를 넘본 여성으로 낙인찍히다, 소현세자빈 강씨
5. 부마는 재혼할 수 없다, 숙정공주
6. 내가 아니면 누가 이 일을 말하겠는가? 혜경궁 홍씨
5부 역사와 기억의 싸움
1. 야사에서 기억하는 여성, 황진이
2. 역사의 진실 그리고 덧붙여진 이야기, 논개
3. 대한민국에서 잊힌 인물, 계월향
4. 기녀의 절개를 다시 생각하다, 매창
5. 기생첩의 자결을 기리는 사회, 한계
6부 전쟁에 직면한 여성의 선택
1. 행주대첩에 참여한 여성들
2. 병자호란기 강화도 최초 순절 여성, 공주 이씨
후기
이 책에 소개된 여성 인물 일람표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