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보예 지젝의 문제작. 눈에 보이는 ‘주관적 폭력’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객관적 폭력’, 즉 ‘상징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이 중요하며, 거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얘기를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주관적 폭력과 싸우는 척 하지만 실제로는 구조적 폭력의 가해자 역할을 하는 자들이 보여주는 위선을 폭로한다.
목차
『폭력이란 무엇인가』를 읽기 위한 우회로 서문 - 폭군의 피 묻은 예복
1 SOS 폭력 폭력 : 주관적 폭력과 객관적 폭력 포르투 다보스의 선량한 사람들 자유주의적 공산주의 마을 ‘무조(無調)의 세계’속 성생활
2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두려워하라! 공포의 정치 이웃이라는 사물 언어의 폭력
3 ‘피로 물든 조수가 범람하다’ 교감적 의사소통의 이상한 사례 테러리즘이 가진 원한 약탈과 강간을 저지를 것 같은 주체
4 관용적 이성의 이율배반 자유주의냐 근본주의냐? ‘두 가문 모두에 저주 있으라!’ 예루살렘의 백묵원 무신론이라는 익명의 종교
5 관용은 이데올로기다 정치의 문화화 실효적 보편성 “저승을 움직이리라” : 지하세계
6 신적 폭력 히치콕과 함께 벤야민을 신적 폭력 : 그것은 무엇이 아닌가... ...그리고 마침내, 그것은 무엇인가!
7 에필로그
한국어판 후기 - 혁명적 진리의 얼굴
원주 참고문헌 색인
서가브라우징
(수디르 벤카테시) 괴짜사회학2009 / 수디르 벤카테시 지음 ; 김영선 옮김 / 김영사
(만화로 보는) 세기의 철학자들 폭력을 말하다 : 우리는 폭력에 대항할 수 있을까?2018 / 지음: 브래드 에번스, 진 마이클 윌슨 ; 로버트 브라운, 크리스 매켄지, 미치루 모리카와, 칼 톰슨, 옌 꽉 그림 ; 옮김: 고은주 / 다른
(만화로 보는) 세기의 철학자들 폭력을 말하다 : 우리는 폭력에 대항할 수 있을까?2018 / 지음: 브래드 에번스, 진 마이클 윌슨 ; 로버트 브라운, 크리스 매켄지, 미치루 모리카와, 칼 톰슨, 옌 꽉 그림 ; 옮김: 고은주 / 다른
조직폭력범죄수사론2003 / 양태규 지음 / 大旺社
폭력의 진부함 = The banality of violence : to be an individual with face, name and voice 2020 / 지음: 이라영 / 갈무리
폭력사회 : 폭력은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2010 / 볼프강 조프스키 지음 ; 이한우 옮김 / 푸른숲
폭력사회 : 폭력은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2010 / 볼프강 조프스키 지음 ; 이한우 옮김 / 푸른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