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늘날 중국의 원형이 형성된 춘추전국시대 550여 년의 역사를 담아낸 <춘추전국이야기>. 국가 경영의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 책략과 더불어 이 시대를 살아간 수많은 사람들의 삶과 운명, 성공과 좌절의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춘추전국시대 550여 년의 역사 속에서 시공을 초월한 영웅들의 통찰력과 지혜를 만날 수 있는 책.
목차
책머리에
1. 오랑캐 땅에서 패자가 나오다
2. 초문화에 들어가기 전에 - 쭉정이 골라내기
3. 초문화 소론 - 모순들의 조화, 강함 속의 부드러움
4. 쾌남아快男兒 초 장왕
초나라 무인들의 전통을 이어받다
다면성을 지닌 군주 - 구정九鼎과 무武
제1장 한수漢水 이무기가 장강長江 용으로─초나라 지형 기행
1. 한수漢水 - 초나라의 대문
2. 동정호와 상강湘江 - 초나라의 풍요
3. 장강 - 남방문명의 총화
청장고원에서 사천분지까지
동정호에서 황해까지
4. 초도楚都 영
제2장 장왕 출현 이전의 국제정세
1. 초나라 목왕穆王이 국세를 지키다
2. ‘여름날의 태양’ 조돈趙盾이 진晉나라를 집권하다
3. 진秦이 원교근공을 추구하다
4. 북방의 적狄이 쇠퇴하다
제3장 장왕의 등극─3년 만에 우는 대붕
1. 3년 만에 우는 대붕
2. 중앙과 지방, 거족과 왕권의 충돌 - 장왕 납치사건
3. 첫 번째 날갯짓 - 망하는 나라를 반석 위로
제4장 승승장구의 조건이 무르익다
1. 지쳐가는 끼인 나라들
2. 포학한 진晉 영공이 집정을 죽이려 하다
3. 회복되지 않는 진晉 - 진秦 관계와 자중지란의 제나라
제5장 승승장구의 서막
1. 정나라로 송나라를 치게 하다
2. 조천趙穿이 진 영공을 죽이다
3. 구정九鼎의 무게를 묻다
4. 내란을 평정하다
5. 초나라의 구리광산
제6장 대붕의 날개─손숙오孫叔敖
1. 손숙오, 이상적인 관료의 원형
2. 양두사兩頭蛇를 죽인 소년
3. 손숙오는 시골뜨기
4. 테크노크라트 손숙오, 쌀의 시대를 열다
제7장 패자의 첫 발─대의를 세우다
1. 난신적자를 응징하다
2. 무릎 꿇은 이를 일으켜 세우다
제8장 패업의 완성─필의 싸움
1. 뒤늦게 원병이 도착하다
2. 매파가 득세하다
3. 평화를 지지하는 기적 - 사슴이 전쟁을 막다
4. 손숙오가 나서다
5. 진흙탕 속의 진주들
6. 승리의 이유 - 절영지회
7. 초나라의 전후처리 - 창을 멈추는 무武
8. 진나라의 전후처리 - 대국의 풍모
9. 필의 전투의 의미
제9장 동쪽에서 패업을 완성하다
1. 소蕭나라를 멸하다
2. 제나라로 간 사신이 살해당하다
3. 인재의 이름을 높이다
제10장 노자老子와 장왕─도가道家적 군주
1. ‘노자’는 누구인가?
2. 멈춤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
3. 군사력은 최상의 수단이 아니다
4. 남보다 뛰어남은 미덕이 아니다
5. 지극한 사랑은 위엄보다 낫다
6. 총명한 아들을 남기다
제11장 장왕 사후의 정세─진晉의 재무장과 4강 판도의 격변
1. 진晉의 재팽창 - 적족들을 밀어내다
2. 제齊가 진晉과 맞서다 - 미계의 싸움
3. 진晉 - 진秦의 결별
4. 오의 등장과 4강 판도의 재조정
5. 진晉 - 초楚의 불안한 휴전
제12장 통한의 언릉焉陵─초나라 패권의 종말
1. 맹약을 깨고 초가 북진하다
2. 노신老臣들이 전쟁에 반대하다
3. 싸움 직전 양군의 진영
4. 초군이 함정에 말려들다
5. 승리가 위기를 부르다
제13장 대단원─성공적인 팽창의 조건 : 절제와 통합
1. 절제 - 임계점을 넘지 않는다
2. 통합 - 차이는 있으되 차별은 없다
보론 초인楚人은 누구인가?─종족의 기원에 대한 고대의 기록과 허구
1. 고대 국가들의 기원에 대한 『사기』의 기록
2. 초의 기원에 대한 기록과 변주
3. 초인과 초문화
답사기 초 땅에서 두 강골을 만나다
1. 형주성에서 관우를 생각하다 - 약자들의 염원이 서린 관우 이야기
2. 장사 굴원의 사당에서 초나라 병사들을 애도하다
부록
춘추시대 주요국 제후 재위 연표
춘추시대 주요사건 연표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