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아탑에서 본 국민가수)조용필의 음악세계 : 정한의 노래, 민족의 노래
발행연도 - 2010 / 김익두 지음 / 평민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45034
-
ISBN
9788971155646
-
형태
366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음악
>
성악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대중문화
>
대중연예/연예인
책소개
대한민국의 국민가수로 자타가 공인하는 조용필의 노래에 대한 연구서. 전통 성악 창법의 수련을 통해 자주적.독창적 음악 어법을 수련하게 되면서 새롭게 가수로서의 삶을 시작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신만의 확실한 음악적 정체성을 찾게 된 조용필 음악의 성음, 창법, 가사, 곡조, 반주음악, 양식 등의 형식을 철저하게 연구하고 있다.
목차
감사의 말
머리말
제1장·‘한국적 정한’의 발견과 체득
1. 한국적 정한이란 무엇인가?
2. 한국적 정한의 몇 가지 특징들
3. 한국적 정한의 발견과 그 음악 어법의 체득
4. 한국적 정한의 구체적 실현 요소들
(1) 성음
(2) 창법
(3) 가사
(4) 곡조
(5) 반주음악
(6) 양식
제2장·‘한국적 정한’의 음악적 실현
1. 정한의 근원과 전통의 음악적 계승
(1) 정한의 근원 정서로서의 ‘그리움’
(2) 정한 전통의 음악정 계승과 변주
(3) 기존 현대 노래들의 자기화
2. 정한의 현대적 변주와 재창조
(1) 전기 : 정한의 폭발적 토로
(2) 중기 : 정한의 응시와 관조
(3) 후기 : 정한의 내향화와 영성화
3. 정한의 심화와 확장
(1) 신명
(2) 동심
(3) 우정
(4) 도시
(5) 정치·사회
(6) 민족·역사
4. 정한의 승화
(1) 체념과 관조
(2) 용서와 화해
(3) 승화와 달관
제3장·작품론
(1) 「창밖의 여자」
(2) 「한오백년」
(3) 「간양록」
(4) 「촛불」
(5) 「물망초」
(6) 「고추잠자리」
(7) 「못 찾겠다 꾀꼬리」
(8) 「생명」
(9) 「자존심」
(10) 「비련」
(11) 「산유화」
(12) 「한강」
(13) 「친구여」
(14) 「황진이」
(15) 「정의 마음」
(16) 「어제, 오늘, 그리고」
(17) 「그대여」
(18) 「들꽃」
(19) 「미지의 세계」
(20) 「허공」
(21) 「킬리만자로의 표범」
(22) 「바람이 전하는 말」
(23) 「그 겨울의 찻집」
(24) 「마도요」
(25) 「진실한 사랑」
(26) 「아하! 그렇지」
(27) 「그대 발길 머무는 곳에」
(28) 「서울 서울서울」
(29) 「모나리자」
(30) 「우주여행X」
(31) 「목련꽃 사연」
(32) 「Q」
(33) 「말하라 그대들이 본 것이 무엇인가를」
(34) 「추억 속의 재회」
(35) 「이젠 그랬으면 좋겠네」
(36) 「꿈」
(37) 「슬픈 베아트리체」
(38) 「고독한 러너」
(39) 「끝없는 날개짓 하늘로」
(40) 「그리움의 불꽃」
(41) 「마지막이 될 수 있게」
(42) 「물결 속에서」
(43) 「바람의 노래」
(44) 「판도라의 상자」
(45) 「연인의 속삭임」
(46) 「친구의 아침」
(47) 「내 삶의 이유」
(48) 「작은 천국」
(49) 「그 후」
(50) 「처음 느낀 사랑이야」
(51) 「태양의 눈」
(52) 「오늘도」
(53) 「꽃이여」
(54) 「그 또한 내 삶인데」
(55) 「진(珍)」
(56) 「꿈의 아리랑」
제4장·조용필 음악의 가능성과 한계
제5장·결론
부록·1 : 김희갑·양인자 대담 자료
부록·2 : 조용필 주요 작품 연보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