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적인 석학이자 전방위적인 학자 앨버트 O. 허시먼이 분석한 보수의 수사학. 18세기 프랑스 혁명의 성공과 인권선언, 19세기 보통 선거권의 도입, 20세기 복지국가의 수립까지, 다양한 역사적 사례와 유명한 논쟁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여 변화에 ‘반동(react)’하고자 하는 세 가지 논리를 추출해낸다.
목차
추천사 허무주의는 우리의 적이다 / 우석훈
서문 그들에게 매혹당하지 않기 위하여
1장 시간을 거꾸로 돌리려 했던 사람들 _ 지난 200년을 지배해온 반동 레토릭
역사적인 반동의 움직임과 세 가지 반동 명제
'반동'이라는 말에 대하여
2장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것이다"_ 역효과 명제
프랑스혁명과 역효과 명제의 등장
보통선거권, 정치학의 마지막 단어
'가난 창조' 효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3장 "그래 봐야 기존의 체제가 바뀌지 않을 것이다"_ 무용 명제
토크빌의 의문 : 프랑스혁명이 도대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모스카와 파레토의 의문 : 보통선거권으로 과연 세상이 달라졌는가
복지국가는 '약속한 것'을 얼마나 가져다 줄 수 있는가
정말 쓸 데 없는 정책인가?
4장 "그렇게 하면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질 것이다"_ 위험 명제
민주주의는 자유를 위협할 것이다
복지국가는 자유와 민주주의 모두를 위협할 것이다
위험 명제에 대한 고찰
5장 세 명제의 불편한 동거
수사학적 공격에 대한 명백한 증거
가장 영향력 있는 명제
양립 불가능한 그러나 포기할 수 없는
논리는 어떻게 충돌하는가
6장 보수에게서 배우는 진보 레토릭
행동하지 않는 것이 더 위험하다
역사는 우리 편
역효과 명제에 대한 대응 명제들
7장 어떻게 새로워질 것인가
주장의 전환
민주주의에서 논쟁하지 '않는' 법
후기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