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배급과 해외 시장 개발을 위한 연구
발행연도 - 2010 / 조희문 / 영화진흥위원회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6884
-
ISBN
9788980210824
-
형태
224p. 23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영화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지/출판
>
책읽기/글쓰기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동서대학교 임권택 영화연구소가 2009년 한국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일어난 이러한 배급 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해외 배급의 가능성을 현장 조사와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한 연구 보고서이다. 부록으로 해외의 다큐멘터리 영화 전문 배급사와 영화 단체, 영화제, 관련 포럼과 워크숍, 한국 국적의 제작자가 지원 가능한 해외의 제작 지원 제도들을 정리하여 첨부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Ⅱ.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맥락과 특징
1. 공공재적 성격
1)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탄생
2) 비디오 액티비즘
3) 영화제의 등장과 예술영화 담론의 중첩
4) 디지털의 도입과 윈도우의 다변화
2. ‘시장’의 특이성
1) 공동체 상영
2) 영화제
3) 상업 영화관 배급과 새로운 관객의 유입
3. 스토리텔링과 장르적 특징
1) 리얼리즘 담론과 다큐멘터리 전통적인 재현 양식
2) 디지털화와 혼성적인 재현 양식
3) 멀티플렉스 상영관 진출과 대중영화 장르의 유입
Ⅲ. 2006년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국내 배급과 수용 양상
1. 다큐멘터리 영화의 배급을 둘러싼 다층적 의미
1) 부분적 공공 영역으로서의 배급
2) 정치적 영향력의 확장과 연대로서의 배급
3) 관객과의 소통방식으로서의 배급
2.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배급 유형에 따른 사례 분석
1) 아트플러스 시네마네트워크 배급 시작: 〈송환〉
2) 극장 배급과 비극장 배급(공동체 상영)의 결합: 〈우리 학교〉
3) 희망 다큐 프로젝트: 다큐멘터리 영화의 극장 개봉 공동 프로모션
3. 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 주체와 배급 주체들에 따른 대안적 배급방향 모색
1) 기획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의 필요
2) 다큐멘터리 영화의 특성에 따른 극장 배급 전략의 다양화
3) 다큐멘터리 영화의 다양한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의 개발
4) 극장 배급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의 마련
5) 지역적/계층적 차이를 고려한 상영프로그램의 개발
6)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표준 상영 포맷
4. 소결
Ⅳ.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해외 배급 현황
1. 해외 시장 진출 유형과 사례 분석
1) 〈낮은 목소리〉 연작
2) 〈송환〉
3) 〈우리 학교〉
4) 〈할매꽃〉
5) 〈워낭 소리〉
2. 해외 시장 진출 시 고려할 사항
Ⅴ. 해외 다큐멘터리 영화 배급 정책과 단체
1. 프랑스
1) 현황
2) 프랑스 국립 영화 센터
3) ‘다큐멘터리 달’ 조직협회
4) RED
2. 미국
1) 현황
2) 극장 배급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변형: 〈펭귄-위대한 모험〉 사례
3) 온오프라인의 적극적인 활용: ‘참여’를 통한 제작과 배급
4) 주요 단체
3. 캐나다
1) 현황
2) 국립영화위원회
3) 다큐멘터리 전문 배급사 필름 트랜짓 인터내셔널
4) 온라인 배급
4. 일본
1) 현황
2) 자주상영 활동과 커뮤니티 시네마의 결합
3)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Ⅵ.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해외 진출 전략
1.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해외 진출의 필요성
2.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해외 진출 전략
1) 제작의 측면: 펀딩과 스토리텔링
2) 배급의 측면: 다양한 플랫폼의 개발
3) 정책의 측면: 제작과 배급을 연동하는 지원
Ⅶ. 결론
참고문헌
부록 Ⅰ.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관련 정보
부록 Ⅱ. 해외 다큐멘터리 영화 관련 정보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