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예산 영화의 현황과 시장 안정화를 위한 연구 : 2000년대 중후반 저예산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발행연도 - 2010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정책센터 [편] / 영화진흥위원회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6819
-
ISBN
9788980210800
-
형태
167p. 23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영화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세계의 문학
>
중국문학
책소개
국내 저예산 영화 산업의 현재를 조명한 책. 그 과정에서 중·고예산으로 만들어지는 일반 상업 영역에서의 영화들에 비해, 저예산 영화들은 실질적인 영화의 내용만큼이나 다양한 제작의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며, 이를 담아내어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는 토대가 이제야 조금씩 형성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저예산 영화가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기 위해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기에 그 길에 모든 영화계와 정부 기관의 적극적인 동행이 절실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저예산 영화 산업 분석
1. 한국 저예산 영화의 기준
2. 저예산 영화의 역할
3. 한국 저예산 영화 제작 현황 개요
4. 저예산 영화의 산업 구조
1) 투자
2) 제작
3) 배급
4) 상영
5. 저예산 영화의 가치사슬 변화
Ⅲ. 가치사슬 변화에 따른 저예산 영화 사례 분석
1. 유형 1: 기본형 가치사슬 구조에 따른 저예산 영화
1) 대기업, 금융자본 투자의 저예산 영화
2) 정부 및 기관의 제작 지원을 받은 저예산 영화
2. 유형 2: 가치사슬 구조로 본 저예산 독립 영화 연구
1) 저예산 영화 전문 배급사: 영화사 진진
2) 새로운 배급 전략: <우리 학교>
3) 저예산 영화 노하우의 집결: <워낭소리>
3. 유형 3: 변화하는 저예산 영화의 가치사슬 구조
1) 전문 배급사에서 투자, 제작으로 확장: 인디스토리
2) 온·오프라인 동시 개봉: <슬리핑 뷰티>
3) 저예산 영화 전문 온라인 배급: 인디플러그
4. 유형 4: 수직통합형 가치사슬 구조
1) TV 영화: <어느 날 갑자기>
5. 저예산 영화들의 사례 연구를 통한 결과
Ⅳ. 해외 저예산 영화 산업과 국내 인디음악 산업 사례 분석
1. 해외 저예산 영화 산업 사례 분석
1) 프랑스
2) 미국
3) 영국
4) 일본
5) 멕시코
2. 국내 인디음악 시장 사례 분석
Ⅴ. 한국 저예산 영화의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전략
1. 기획력의 확장, 전문 기획 인력 지원
1) 저예산 영화에 대한 기획비 지원 제도 확장
2) 저예산 영화 기획, 마케팅, 배급 교육 및 인프라 구축
3) 저예산 영화 전문 기획 인력 지원
2. 제작비의 정책적 지원, 제작 환경개선
1) 저예산 영화의 안정적인 제작 지원 제도 구축
2) 저예산 스태프 인건비 지원 방안 모색
3) 제작사, 투자사에 대한 세제 혜택
3. 수익 창출을 위한 수익 다각화
1) 저예산 영화의 글로벌화
2) 부가판권 시장 활성화
4. 배급 및 마케팅 전략과 지원
Ⅵ.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1. 2002년∼2009년 저예산 영화 리스트2. 인터뷰 자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