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비타 악티바 개념사’ 시리즈 열아홉 번째 권. ‘테러’란 공포를 생산하는 기술, 즉 타인에게 심리적 영향을 끼칠 의도 아래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 정치적 목적이 개입된 것이 ‘테러리즘’이다. 저자는 ‘도덕’을 배제한 상태에서 테러의 의미와 작동 방식, 테러리즘의 역사와 변화를 섬세하게 분석한 후, 테러리즘에 대한 도덕적 평가라는 주제로 나아가 분석한다.
목차
1장│테러란 무엇인가
1. 왜 테러인가
안타깝지만 진부한 소식, 테러
용산 참사는 철거민들의 도심 테러?
'테러리스트' 안중근 구하기
2. 테러란 무엇인가
테러의 어원적 의미
테러의 작동 방식
테러와 미디어
● ─ 깊이 읽기│형벌과 테러
2장│테러리즘과 정치
1. 공포를 이용한 지배와 저항
로마 제국의 테러리즘
《유대전쟁사》 속에 묘사된 십자가형
마키아벨리의 경고
테러리스트의 등장
2. 혁명과 테러리즘
프랑스 혁명과 로베스피에르의 '테러' 독재
러시아 혁명과 트로츠키의 테러리즘
정치적 의미 맥락의 충돌과 테러리즘
이데올로기와 테러
● ─ 깊이 읽기│암살과 테러
3장│테러리즘의 변화
1.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대중 매체의 등장과 발전
테러 메시지의 수신자
'새로운' 테러리즘과 구성되어야 할 제3자
2. 테러리즘의 탈정치적 자율화
게릴라 전쟁과 테러리즘
테러리즘의 국제화
종교적·근본주의적 국제 테러 조직의 등장
전쟁의 비대칭화와 테러리즘의 독립
전쟁의 도구와 장소의 전략적 재정의
3. 탈영웅적 사회와 영웅적 테러리스트
상인과 영웅
영웅적 도발, 탈영웅적 전투
죽음이 오히려 구원인 사람들
● ─ 깊이 읽기│테러와 경제
4장│테러리즘과 도덕
1. 테러리즘은 정당할 수 있나
변명의 문화
무고한 사람은 없다?
그것은 정말 최후의 수단인가?
그것은 정말 '약자'의 수단일까?
결국 모든 정치는 테러리즘이다?
2. 도덕적으로 테러리즘에 맞서 싸우기
국제적인 수준에서 정당하게 테러리즘에 맞서 싸우기
● ─ 깊이 읽기│인도적 군사 개입의 도덕성
5장│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이 테러인가
미국 '제국'과 테러
'전도된 전체주의'와 공포
유동하는 공포, 가상의 공포
공포의 상호성과 테러
테러와 자유
개념의 연표─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