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소설로 자리잡은 김만중의 『구운몽』을 재해석하는 연구서로, 참신하고 입체적인 관점, 섬세하고 깊이 있는 세부 분석이 돋보인다. 오랫동안 『구운몽』 연구에 천착해 온 저자는 기본적인 캐릭터·서사·스타일 분석뿐만 아니라 독자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 비교 연구와 원전 연구를 넘나들며 폭넓은 독해를 시도한다.
목차
머리말
구운몽을 읽기 전에 왜 다시 『구운몽』인가
'구운몽'이라는 제목
『구운몽』의 작자와 창작 동기
『구운몽』의 구조와 무게중심
『구운몽』의 원본
제1부 『구운몽』의 세계와 이념
양소유 탐구
성진과 양소유, 참된 존재는 누구인가
사랑하기 위해 태어난, 만인의 연인
양소유의 매력
양소유의 물음과 깨달음
『구운몽』의 여성 탐구 - '지음'과 위계
지음 관계
여성 간의 위계
『구운몽』의 독자는 누구인가
『구운몽』과 '교양'의 문제
여성, 속임수의 주체
배려의 형식, 차등의 질서
제2부 『구운몽』의 창작 원리
전기소설의 전통과 『구운몽』
소설 전통의 변용 양상
전기소설 변용의 맥락과 의미
17세기 소설사의 전개와 『구운몽』
『구운몽』의 창작 방법
환몽구조와 편력구조의 결합
장편화 방법
문체 실험
17세기 동아시아 소설의 편력구조 비교-『구운몽』·『육포단』·『호색일대남』의 경우
편력구조의 동이
'차이'의 근원, '차이'를 보는 시각
제3부 『구운몽』 원전 다시 보기
『구운몽』원전의 탐색
쟁점과 전제
첫째 쟁점: 노존A본의 직접적인 선행본은 노존B본인가 규장각본인가
둘째 쟁점: 최선행본은 노존B본인가 규장각본인가
『구운몽』원전 재론
고유명사의 표기 차이
전고 활용의 포기
운문에서 산문으로의 변개
노존B본과 노존A본의 일치, 그리고 여백의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