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성폭력 범죄율 세계 2위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에서 홀로 외로이 숨죽이며 혼돈의 시간들을 겪고 있을 사람들에게 용기있는 두 여자, 테레사 라우어와 강영이 쓰고 옮긴 <그녀의 불편한 진실>이라는 책은 뜻깊게 다가온다. 용감하게 실제 상담의 세세한 내용과 과정의 속내를 보여 주는 테레사의 이야기는, 한국에 사는 또 한 명의 강간 피해자를 용감한 생존자로 거듭나게 돕고 상처를 치유하는 안내서가 될 것이다.
목차
감사의 말
강간 피해자에게 띄우는 글
옮긴이 말
이 책 사용법
1부 상담
들어가는 말
1_9시 약속 시간에 맞추기 위해
3_내가 여기 온 것은
4_지난번 상담 이후에
7_오늘따라 내가 우울한 것을 바로 알아차리고
9_상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시간이기에
10_조심스레 게리에게 말을 건넨다
11_나를 편안하게 이끌어 주려는 걸 알기에
12_내게 일어난 어떤 일을 얘기하고 싶어요
13_게리가 오늘 상담에 늦는다
15_몇 년 전에 겪은 강간에 대해
16_요즘 읽고 있는 강간 관련 책
17_수년 전에 겪은 강간의 기억을
18_게리 방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유난히 가볍지 못하다
19_잿빛 하늘에 비가 내린다
20_강간에 대한 얘기를 시작한 이후로
21_지난번 상담이 있은 지 거의 한 달
22_게리가 상담실로 부른다
23_다소 낯선 느낌
24_그때 그 남자의 집에서
26_얘기를 털어놓기로 한 목적
28_이 상담에서 이겨 내고자 하는 슬픔은
30_아빠 얘기를 하던 내 반응
31_매우 촉박하게 연락했는데
33_깨달음의 순간을 고대해 왔지만
34_게리의 휴가가 꽤 어중간하게 잡힌 탓에
36_가까운 이의 죽음을 온전히 슬퍼해 보지 못한
37_소소한 일상에 관한 얘기
38_게리를 만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40_상담에 오고 싶지 않았다
41_아빠의 죽음 이후
44_지금껏 상담 대기실에서 한 번도 본 적 없는 광경
46_이 문제를 일부러 피해 왔지만
47_게리가 아파서 지난번 상담을 취소했다
48_강간의 결과에 초점을 맞춰 계속 노력해 보자고
50_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53_단호한 태도로 나를 맞으면서
55_상담 시간 동안 상담실을 안전한 피난처로
56_출산 경험
57_한결 편안하고 격의 없이
60_엄청나게 강렬한 느낌에 저항하려니
61_깊은 이야기를 하려면
62_내 얘기는 바닥을 다 드러낸 듯하다
64_게리와의 관계는 긴밀하고 친근하다
65_자리에 앉자마자
67_상담에서 맛본 큰 행복감
68_거의 한 달 동안
69_날씨가 포근하다
71_강간에 대해 연구한 것
72_상담 과정 중에 종종 게리의 소파에 올라가 어린아이가 되고 싶었지만
74_이제껏 정말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78_빨리 만나고 싶은 마음
82_가장 심오한 배움과 통찰
83_상담 이후 생긴 일들로 엄청난 행복감에 빠져
89_석사 학위에 필요한 과제를 수행
94_상담의 종결에 대해 준비
95_나의 독립기념일
에필로그
2부 감정, 정신, 육체, 성적 치유
① 감정 치유
내가 겪은 것이 강간인가요?
데이트 강간도 진짜 강간인가요?
데이트 강간 마약이 무엇인가요?
교내에서 강간을 겪었어요. 누구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죠?
강간에 관한 생각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아요. 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요?
플래시백은 어떤 ‘느낌 ’인가요?
언제쯤 악몽을 꾸지 않게 될까요?
왜 어떤 냄새를 맡으면 강간범이 떠오르는 것일까요?
그것에 대해서는 얘기하고 싶지 않아요. 얘기해서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왜 아무 일도 하고 싶지가 않은 거죠?
그 일이 있는 후로 왜 집중할 수가 없죠?
왜 아주 작은 소리에도 깜짝 놀라는 걸까요?
의사가 불안 발작이라고 진단했는데, 그게 무엇인가요?
② 정신 치유
이해하고 싶은데, 이것이 도움이 될까요?
도대체 어떤 남자가 이런 짓을 할 수 있죠?
형사 고발을 할 수 있을까요?
강간이 별 영향을 주지 않았어요. 아무것도 바꿀 수 없을 텐데 왜 굳이 그 생각을 해야 하나요?
하느님은 어떻게 내게 이런 일이 생기게 내버려 두셨을까요?
더 주의했더라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까요?
세상이 죽어 버린 것만 같아요. 왜 이렇게 우울한 걸까요?
어떻게 해야 일어난 일을 받아들이는 법을 알 수 있을까요?
강간 회복을 위한 단기간 지원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긴급 상황에서 어떤 도움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강간 회복을 위한 장기적 도움에는 뭐가 있을까요?
심리상담가를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어떤 종류의 심리상담이 가능한가요?
누군가 미술 치료를 제안했는데, 도움이 될까요?
EMDR이란 무엇입니까? 이런 상담이 도움이 될까요?
집단 상담을 받으러 가야 할까요?
지지 모임이 내게 더 잘 맞을까요?
상담을 시작한다면 어떤 것을 미리 준비하고 있어야 할까요?
상담을 받고 싶지 않은데,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③ 육체 치유
산부인과 진료 예약이 불안하게 느껴져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에이즈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강간으로 임신하게 될까 너무 두렵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식이 장애가 계속되고 있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왜 자해를 하고 싶을까요?
내 몸에서 분리된 느낌이에요. 왜 이제 성욕을 느낄 수가 없게 된 거죠?
다시 안전하다고 느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④ 성적 치유
어떻게 해야 다시 성감을 되찾을 수 있을까요?
이제 더는 성생활을 하고 싶지 않아요. 벼랑 끝에 선 느낌이에요. 성 심리상담사를 찾아봐야 할까요?
특정 체위가 감정적으로 매우 힘든데, 어쩌면 좋을까요?
강간 도중에 성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죄책감이 있어요. 뭐가 잘못된 걸까요?
남편에게 이제 사랑을 나눌 준비가 되었다는 말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만지려고 하면 움츠러드는데 어쩌면 좋죠?
어떻게 해야 내 과거를 이해할 수 있는 마사지 치료사를 찾을 수 있을까요?
강간으로 인해 만성 통증을 안고 사는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강간으로 영구적인 장애를 입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흉터 때문에 옷을 벗기가 창피합니다. 다시 편하게 나체 상태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엄청난 통증을 겪고 있고 의사는 강간으로 상처가 생긴 것 같다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산부인과 의사가 성병 검사를 제안했는데 그게 무엇입니까?
의사가 질 경련으로 진단했는데 그게 뭔지, 또 어떻게 해야 좋을지 알고 싶어요.
⑤ 가족·친구
아내는 너무나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고 나는 분노만을 느낄 따름인데, 그녀와 나 자신을 도울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아내가 회복하는 데 심리상담이 도움이 될까요? 함께 가야 할까요?
아내를 보호하지 못한 것을 자책하고 있습니다. 그녀 역시 그럴까요?
언니가 식이 장애로 심각한 부정 단계에 있는데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딸이 고의적으로 자해를 하고 있는 듯해서 안타깝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3부 도움이 되는 책·영상·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