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6번째 책. 신세대 인문학자이자 중국 전문가인 박근형 저자가 쓴 일종의 ‘중국을 테마로 한 퓨전 인문서’이다. 이 책은 사람과 시대에 대해 통찰력을 제공하는 인문학적 프레임을 통해 중국의 과거·현재·미래를 들여다봄으로써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고 있다. 중국인들의 미래를 방향지우고, 현재를 지배하고 있는 의식 구조와 삶의 방식의 뿌리들을 인문학적 프레임을 통해 깊이 있게 들여다봄으로써 중국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준다.
목차
시작하는 글 중국은 한국에게 대체 어떤 존재인가'
1장 새로운 프레임으로 들여다보기
중국인은 시공간 개념이 우리와 다르다
냉철함은 없으나 자존감이 강한 중국 젊은이들
‘정권’과 ‘조국’을 구별 못하는 중국 젊은이들
중국공산당을 좋아하진 않지만 지지하는 젊은이들
2장 중국을 알려면 ‘한족’의 존재를 이해하라
아주 오래전 이야기
한국의 부모는 삼국, 중국의 부모는 주나라
3장 한자와 중국어의 별난 관계
중국어와 친해지려면 한자와 먼저 사귀어야 한다
지금 중국인들이 쓰는 한자
4장 인문학적 프레임으로 본 중국 경제
“누구든지 먼저 부자라 돼라”고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부자는 되었지만 ‘불안한 부자’가 되었다
5장 ‘소프트 중국’ 이해하기
중국 고전문화의 꽃 《삼국연의》와 《시경》
다른 나라에 뒤지지 않는 자본주의적 풍속도
6장 한국은 중국인의 역사 왜곡을 탓하고 중국은 한국인의 역사 왜곡을 탓한다
모든 것은 교육 체제에서 시작된다
한국인과 중국인의 심각한 시각 차이
7장 한국인과 중국인이 서로 ‘쿨’ 하게!
한국인과 중국인은 서로 싫어해봐야 손해다
한국인은 중국인보다 기가 세다
맺는 글 아는 만큼 보인다면, 보이는 만큼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