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위험의 정의와 이론적 논의들, 불확실성 시대의 위험 논의 등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우리가 이해하기 쉬운 우리나라의 사례를 소개하면서도 적절히 위험사회 이론을 절충해 위험을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며
제1부| 위험의 의미론 변천: 루만과 벡을 중심으로
제1장_위험의 의미 변화와 위험관리
1. 위험 인식의 역사
2. 보험제도의 발달과 위험의 의미 변화
3. 복지국가의 위험관리
4. 위험관리체제의 발달
제2장_위험의 의미론 I: 초기의 위험 연구
1. 위험 객관주의
2. 위험 주관주의
3. 위험 구성주의
제3장_위험의 의미론 Ⅱ: 사회학적 위험 연구
1. 반(半)구성주의적 위험사회론
2. 행위주체의 위험 인지
3. 사회체계이론의 위험 소통
제2부| 위험 소통의 사회적 의미의 세 가지 차원
제4장_현대사회의 위험 주제화
1. 행위이론의 위험 구상
2. 복지국가에서의 위험 주제화
3. 자기생산적 사회체계이론의 위험 구상
4. 소통의 확실성과 불확실성
제5장_위험 소통의 시간적 의미 차원
1. 현대적 시간
2. 현대의 시간 구속
3. 사회적 학습
제6장_위험 소통의 사실적 의미 차원
1. 일시적 복합성
2. 기술(技術)
3. 위험 규제
제7장_위험 소통의 사회적 의미 차원
1. 결정자와 당사자
2. 상호이해
3. 위험 인지
제3부| 자기생산적 사회체계이론의 위험 논의
제8장_체계 범주로서의 위험
1. 사회체계의 약호화
2. 사회체계의 위험 주제화
3. 우연성과 불확실성 흡수
4. 사회체계의 위험한 결정
5. 관찰에 대한 관찰
제9장_위험과 위해
1. 위험과 안전
2. 위험과 결정의 합리성
3. 조직의 합리성
4. 위험선호와 위험회피
5. 비대칭적 불일치
제10장_위험사회의 갈등
1. 예방된 위험
2. 정치적 결정과 사회적 책임
3. 위험 갈등
4. 시민사회
5. 체계에 대한 신뢰
제4부| 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정치
제11장_불확실성의 정치
1. 대화와 활동
2. 불확실성 속 사회체계의 자기구속
3. 불확실성 속 소통의 귀속 기준
4. 불확실성 속 소통의 닫힘과 귀속
제12장_위험의 문화적 맥락들
1. 문화이론의 포섭
2. 위험문화의 닫힘 논리
3. 정보의 수용과 거부
제13장_위험정치의 조직화
1. 위험 상황에서의 불확실성 흡수와 책임수용
2. 정치의 위험관리
3. 정치의 중심부와 주변부
4. 정치적 목적의 모호성, 정치와 행정의 느슨한 연동
제14장_위험의 정치화와 위험 성찰
1. 위험 소통의 닫힘과 자극
2. 집단적 행위자로서의 신사회운동
3. 위험에 대한 집단적 성찰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불과 한국인의 삶2001 / 김형국 편저 / 나남출판
접속 1990 : 우리가 열광했던 것들2015 / 지음: 김형민 / 한겨레
지식의 최전선2002 / 김호기 외저 / 한길사
지식의 최전선2002 / 김호기 외저 / 한길사
권력의 종말 : 다른 세상의 시작2016 / 지음: 모이제스 나임 ; 옮김: 김병순 / 책읽는수요일
마인드 세트2006 / 존 나이스비트 지음, 안진환, 박슬라 옮김 / 비즈니스북스
마인드 세트2006 / 존 나이스비트 지음, 안진환, 박슬라 옮김 / 비즈니스북스
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 = Sociology of risk in uncertain times2010 / 노진철 지음 / 한울
미래 속으로2001 / 에릭 뉴트 지음 ; 박정미 옮김 / 이끌리오
미래 속으로2001 / 에릭 뉴트 지음 ; 박정미 옮김 / 이끌리오
문명의 붕괴 : 과거의 위대했던 문명은 왜 몰락했는가?2013 /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 강주헌 옮김 / 김영사
관심의 경제학 : 정보 비만과 관심 결핍의 시대를 사는 새로운 관점2008 / 토머스 데이븐포트 ; 존 벡 [공] 지음 ; 김병조 ; 권기환 ; 이동현 [공] 옮김 / 북이십일 21세기북스
(빅데이터 시대, 잘 먹고 잘 사는 현대인의) 필수 교양 정보 문해력 2023 / 지음: 로스 도슨 ; 옮김: 박영민 / 프리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