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삶-연구-글쓰기의 인터페이스(interface), aff-com
프롤로그
부대낌
파토스(pathos)와 아파지(apathy)
반경
관통(passage)
파토스(pathos)에서 파토-로지(patho-logy)로
안녕
1장 불/가능한 싱글 라이프 : 연민과 정치적 주체성
죽음과 생존을 묻다:슬픔의 정치학과 공동체
생존의 조건, 의미화의 조건:‘페미니즘은 이제 그만’과 ‘또 다른 페미니즘’의 사이에서
번역될 수 없는 삶-문장:국민작가와 ‘그 무엇’
번역가능성과 번역불가능성 사이의 삶-죽음
또 다른 페미니즘, 혹은 새로운 이론적 실천의 가능성을 꿈꾸며
2장 슬픔과 공동체의 윤리 : 애도, 우정, 공동체
죽음을 묻다:광장과 극장의 언저리들
휘발되어 사라지는 몸:전쟁 상태, 생존을 묻다
너를 삼킨 몸:애도의 실패와 윤리의 자리
애도, 우정, 공동체
3장 슬픔과 주체성 정치: 맨몸의 숭고와 ‘비판적 삶’의 종말
위기와 가족 서사, 익숙함의 반복일까?
상실의 아우라
맨 몸의 서사와 위기
어머니-자연과 노동:생존의 신성함과 비판의 종언
슬픔과 주체성 정치
돌아오는 것, 혹은 돌아갈 수 없음의 ‘불안’
4장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 반려와 어소시에이션의 발명을 위하여
다문화 강사 지망생 K씨의 하루:꿈은 세계로 그러나 삶은 게토에서
안녕하십니까! 아시아:메이드인 코리아의 판타지와 몰락
안녕, 외로운 타자들:낯익음의 정치적 함의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반려, 혹은 발명되어야 할 어소시에이션
5장 사랑의 담론과 정치적인 것: 근원회귀의 반복인가 신인류의 생산인가
사랑, 그 오래된 새로움의 도래
사랑의 조건들:종말의 절실함과 변방의 고달픔
세계의 중심(/서구)의 종언, 혹은 사랑의 종말
끝장의 형식으로 세계를 취급하는 방법:열정 이후의 사랑
종언 이후의 시대감각으로서 사랑의 담론
6장 위기감과 불안, 그리고 파시즘의 정체성 정치
위기감과 환멸:한국 사회와 파시즘
불안과 환멸의 줄타기:파시즘이 당신을 부르는 방법
트랜스젠더와 비국민:생존의 이념과 재생산의 정치
불안은 숙명이 아니다:해방의 사상과 정치를 탈환하기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