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시작하며
1. 회상(回想): 가족, 성장
화가의 어머니
아버지의 포부, 아랑곳하지 않는 아들
형님의 보물 상자와 연날리기
2. 전쟁: 6·25 수업
김환기와의 만남
박재홍에서 박서보로
3. 반국전(反國展) 선언
안국동 미술 연구소
「4인전」
반국전 선언
4. 현대미협(現代美術家協會: 현대미술가협회)
현대미협의 첫걸음
제2회 현대미협전, 미(美)의 유목민
현대미협의 도약
미(美)의 전투부대
한국적 앵포르멜은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앵포르멜이었나?
5. 파리는 빛바랜 비취
제6회 현대미협전
드디어 파리로
드롭프스 사탕 같은 파리 미술
컨퍼런스에서 1등상 수상
6. 한국의 첫 번째 파리 비엔날레
파리 비엔날레 참가 작전
슬픈 추신
7. 전쟁은 망각(妄却) 지대로: 뒤척거리는 60년대
첫 개인전 「원형질(原形質)전」
감각의 시한성(時限性)을 느끼며
8. 전쟁 미학에서 묘법(描法)으로
동경이라는 창문
묘법(Ecriture)의 탄생
9. 「다섯 가지 흰색」전
파리 김창렬 화백과의 재회
「다섯 가지 흰색」전: 단색화의 첫 번째 해외 진출
흰색이 받은 힐난(詰難)
탁월한 모노하, 허구적인 단색화
언어적 흰색 vs 창작의 흰색
「앙데팡당」, 「에꼴 드 서울」
10. 1970년대가 저물며
「한국, 현대미술의 단면」전과 집단 개성
하루오 노자키의 뜻밖의 편지
그랑팔레전 비판
전통 유감
반(反)외세=민중미술=한국적·민족적이라는 공식
11장 종이 묘법
안성 작업실
종이의 발견
홍대 예술학과
종이로 캔버스를 대체
12장 나는 미니멀리스트가 아니라 단색화 작가
국내 미술계의 침묵과 반전
박서보가 쓰는 단색화론
단색화의 미래
책을 마치며
주(註)
작품 도판(Pl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