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경제도 영화처럼 떠들며 토론할 수 있다면
1. 돈이 많으면 부유한 국가일까?
우리는 에티오피아보다 부유할까?
분업은 어떻게 국가를 부유하게 할까?
2. 보이지 않는 손은 나누기도 잘할까?
시장은 어떤 역할을 할까?
시장은 어떻게 자원을 분배할까?
3. 시장은 왜 대공황을 막지 못했을까?
국민 경제는 어떻게 순환할까?
시장의 실패, 대공황
4. 국가가 부유하면 국민도 부자가 될까?
석유 파동과 케인즈 시대의 종말
낙수 효과는 없다. 신자유주의의 한계
5. 자유 무역을 하면 살림살이가 나아질까?
세계화, 식탁은 지구다!
동네 바보형 준하와 형돈이의 장사
6. 세계화는 어떻게 세상을 하나로 만들었을까?
포도주냐 옷감이냐, 비교 우위론
세계화와 과학 기술의 발전, 정보화
7. 농사짓던 농부는 반도체를 만들 수 있을까?
불의 나라와 바람의 나라, 비교 우위론의 한계
세계화, 비정규직과 빈곤의 시대
8. 시장은 과연 혼자서 작동할까?
시장은 국가 권력의 산물이다
국가에 의해 만들어진 시장
9. 조선 시대로 날아가면 부자가 될 수 있을까?
중2병을 앓는 우리와 기성세대
경제를 움직이는 힘, 문화
10. 베짱이는 어떻게 개미가 되었을까?
학교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게으름의 추방, 내면화
11. 인간은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적 인간일까?
새로운 시장 경제는 가능할까?
우리는 경제적 인간일까?
정의로운 인간, 최후통첩 게임
착한 시민, 공정 무역
12. 민주주의가 시장을 바꾼다고?
약자를 우선하는 사회의 가능성
시장 원리에 따른 분배가 정당화될 수 있는 조건
맺음말- 삶에 대한 태도, 경제에 대한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