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머릿돌-번역하는 동아시아, 상상되는 세계문학
1. 두 가지 신화
2. 번역된 세계문학이라는 것
3. 번역가의 탄생과 죽음
4. 번역의 복수성과 세계문학의 불평등성
5. 동아시아 근대라는 시공간
6. 번역과 번역 사이에서
제1부 번역가와 그의 시대
제1장-홍난파와 번역가의 탄생
1. 번역가의 존재론
2. 숨은 문학청년의 초상
3. 세계문학 번역가로서 홍난파
4. 도스토옙스키와 연애소설
5. 한 쌍의 사랑, 두 개의 비애
6. 번역의 운명
제2장-이상수와 양재명, 번역가의 길
1. 세계문학의 시대와 번역가
2. 양다리 걸치기, 교회 분규, 대구 사투리
3. 풍운아의 초상
4. 숨은 번역가들의 시대
5. 문학청년의 타락과 번역의 행방
제3장-진학문과 식민지 번역의 기억
1. 번역가의 거처
2. 투르게네프에서 고리키로 가는 길
3. 서양에서 온 동양인과 산문시의 운명
4. 미래형의 후타바테이 시메이
5. 종주국의 근대문학이라는 것
목록ㆍ1
제4장-김동성과 셜록 홈스 번역의 역사
1. 천리구 김동성과 추리소설
2. 영한 번역가의 탄생
3. 셜록 홈스를 번역한다는 것
4. 한국 추리소설과 상상력의 계보
5. 추리소설과 세계문학
목록ㆍ2
목록ㆍ3
제5장-김억과 임학수의 머리말, 번역가의 목소리
1. 머리말이 있는 풍경
2. 사라진 앤솔러지
3. 김억과 한시의 재발견
4. 임학수와 영문학이라는 것
5. 목소리의 계보학
제2부-번역과 세계문학의 계보학
제6장-편집자의 탄생과 세계문학이라는 상상력
1. 가위질과 풀칠의 상상력
2. 세계문학이라는 것
3. 앤솔러지의 탄생과 계보
4. 사산된 세계문학전집
5. 세계문학의 시대와 번역의 역사성
제7장-한국에 온 톨스토이
1. 번역의 역사성
2. 번역된 톨스토이와 번역되지 않은 톨스토이
3. 톨스토이안이 숨긴 톨스토이
4. 두 얼굴의 카추샤
5. 삼일운동 직후의 톨스토이
6. 번역의 사상과 계보학
목록ㆍ4
제8장-한국에서 만난 셰에라자드
1. 모호한 기원과 경계
2. 『아라비안나이트』 번역의 계보
3. 『유옥역전』의 존재 방식
4. 번역된 세계문학으로서 『유옥역전』
5. 근대라는 지평과 번역
제9장-입센과 세계문학의 식민지
1. 동아시아의 입세니언과 노라
2. 중역으로 얻은 것과 잃은 것
3. 성공한 번역과 실패한 가출
4. 우스꽝스러워진 세계문학
5. 경의와 우롱, 불평등한 세계문학
제10장-알퐁스 도데와 불평등한 세계문학
1. 잃어버린 화살을 찾아서
2. 착각과 오해의 「마지막 수업」
3. 위조된 상상력, 세계문학의 속임수
4. 번역과 국정 교과서의 기억
5. 식민지의 세계문학과 세계문학의 식민지
제3부-세계문학의 동아시아적 무의식
제11장-근대 동아시아 문학 번역의 역사성과 상상력
1. 서양문학이 아닌 것의 알리바이
2. 번역하지 못한 것과 번역되지 않은 것
3. 지나(支那)를 상상하는 방법론
4. 종주국의 근대문학과 번역이라는 잉여
5. 중역의 기억, 세계문학 바깥의 사상
제12장-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성립의 기원과 역사성
1. 번역문학이라는 번역어
2. 발견된 번역문학, 자국문학의 상상
3. 중역의 사상과 동아시아 세계문학
4. 번역된 문학의 역사라는 것
제13장-중국문학 번역의 분기와 원근법
1. 소설가 백화 씨와 번역가 구보 씨
2. 이야기꾼의 엇갈린 여로
3. 박태원과 두 갈래의 중국문학
4. 『금고기관』과 『요재지이』 번역의 계보
5. 지나를 둘러싼 상상력의 운명
제14장-중국 근대문학 번역의 계보와 역사적 성격
1. 베이핑 시절의 재생
2. 중국문학 번역의 성장과 좌절
3. 루쉰과 차오위의 해방 전후
4. 북간도의 서사시인 윤영춘
5. 지나와 중공(中共) 사이
제15장-동아시아 가족사의 상상과 세계문학 번역
1. 타자의 거울
2. 가족사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좌
3. 펄 벅과 『대지』
4. 린위탕과 『베이징 시절』
5. 거울 속의 타자
참고문헌
표ㆍ목록 차례
초출일람
찾아보기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