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서론
제1부 유엔, 어제와 오늘
제1장 국제관계이론 시각에서 보는 유엔
제2장 연합국의 국제평화 의지와 유엔탄생
제3장 유엔과 유엔체계 구조
제4장 유엔의 다양한 활동과 전담조직
참고문헌
제2부 유엔 평화·안보주체로서 안전보장이사회와 사무총장
제1장 유엔안전보장이사회와 강대국정치: 구조·절차·개혁논의
제2장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개혁논의와 한일관계
제3장 독일과 일본, 유엔안보리 진출 노력
제4장 비유엔행위자의 군사적 제재와 유엔안보리의 향방
제5장 이라크 전후복구와 유엔의 역할: 유엔효용론인가, 유엔무용론인가
제6장 2018년 영면에 든 제7대 유엔사무총장 코피 아난: 업적과 유엔의 과제
제7장 반기문 제8대 유엔사무총장 재선 (2011)
제8장 제9대 유엔사무총장 선출과정 조망: 글로벌 리더십 발굴을 위한 새 노력
제9장 다자주의 퇴조 속 구테흐스 제9대 유엔사무총장 취임: 난민, 북한핵, 미국-유엔관계
참고문헌
제3부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지평
제1장 유엔평화유지활동 도전과 응전: HIPPO와 A4P
제2장 제2세대 유엔평화유지활동의 특징, 현황, 정치
제3장 통합형 유엔평화유지활동: 코소보 사례를 중심으로
제4장 한국·중국·일본의 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배경, 동인, 전망 비교
제5장 한국군의 국제평화유지활동: 배경, 성과, 도전
참고문헌
제4부 유엔과 인권의 국제화
제1장 유엔인권위원회와 러시아의 체첸군사작전
제2장 밀로셰비치, 유엔특별형사재판소 피고가 되기까지
제3장 인도주의적 군사개입, 시행착오의 여정
참고문헌
제5부 글로벌 비전통 안보위협과 유엔의 과제
제1장 글로벌 비전통 안보위협: 유엔과 한국의 기여 요소
제2장 세계화와 글로벌 테러리즘: 현상과 유엔중심 대응
제3장 국제테러리즘의 패러다임 전환과 유엔안보리의 대응
제4장 이슬람국가(IS)의 파리시내 테러: 내전, 테러, 난민 복합성
참고문헌
제6부 유엔헌장 제7장과 안보리의 제재
제1장 유엔 타깃제재, 북한·중국·러시아, 국제정치이론
제2장 유엔의 대북 비확산 제재: 2013년 잠정평가
제3장 유엔의 대북제재와 수출통제
제4장 유엔 타깃제재의 영향과 실효성
참고문헌
제7부 P5의 유엔 밖 상호견제 구도와 국제질서 동향
제1장 유엔창설 70주년, 시리아·우크라이나 유감
제2장 시리아 유혈사태와 러시아, 그리고 현실주의 국제정치
제3장 크림반도 위기와 국제질서의 향방
제4장 트럼프 시대 미러관계 전망
제5장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경제제재: 중국·러시아의 기업과 개인
제6장 웨일즈 NATO 정상회의: 러시아, IS, 안보강화
제7장 뮌헨안보회의의 전통·비전통 안보 의제
제8장 브렉시트, 유럽과 국제안보에의 함의
제9장 오리무중(五里霧中) 속 솔즈베리 독극물 사건: 21세기형 전통·비전통 안보의 혼재
제10장 중·러 주도 상해협력기구 정상회의: NATO와의 국제안보 시각차
제11장 두 차례에 걸친 중·러 해상연합-2015: 배경, 내용, 의미
제12장 중·러 정상의 타쉬켄트와 북경 회동: ‘신실크로드,’ ‘남중국해,’ 그리고 ‘사드’
제13장 샹그릴라 대화와 미·중경쟁: 아시아안보의 현주소
참고문헌
결론
부록
1. 유엔헌장 제6장(분쟁의 평화적 해결)
2. 유엔헌장 제7장(평화위협, 평화파괴, 침략행위에 대한 조처)
3.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문 제1718(2006)호 북한 제1차 핵실험에 대한 제재결의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