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서론: 왜 오늘날 왈츠를 보아야 하는가
제1부 국제정치 ‘이론’의 시작-왈츠
제1장 왈츠: 국제정치이론의 논리적 기초를 제공하다
1. 국제정치학의 탄생과 핵심 질문 : 국가행동을 탈규범적으로 어떻게 이해하는가
2. 전쟁의 원인 : Man, the State, and War
3. 국제적 무정부 상태와 국제정치에서의 경쟁
4. 국제체제의 구조에 따른 위험성
5. 왈츠 이론의 발전
제2부 현실주의 이론의 발전
제2장 반 에베라: 군사전략은 국가의 행동을 결정한다
1. 왈츠와 반 에베라-핵심 질문 : 공격방어 균형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2. 공격방어이론과 안보딜레마
3. 공격 우위의 위험성
4. 국제정치의 위기와 제1차 세계대전
5. 공격방어이론의 발전 : 안보딜레마의 극복
제3장 미어세이머: 무정부적 국제체제는 매우 위험하다
1. 왈츠와 미어세이머-핵심 질문 : 국제적 무정부 상태는 안전한가
2. 국제적 무정부 상태의 안정성
3. 상대적인 힘과 국가의 행동
4. 국제체제의 구조에 따른 안정성 변화와 강대국 전쟁
5. 공격적 현실주의의 등장과 발전 가능성
제4장 스웰러: 공격적인 국가가 존재한다
1. 왈츠와 스웰러-핵심 질문 : 모든 국가는 동일한가
2. 고전적 현실주의의 부활
3. 국가의 유형과 국제정치 구조
4. 위협에 대한 대응과 동맹의 작동
5. 스웰러 이론의 발전
제5장 왈트: 위협적인 국가와 강력한 국가를 구분하다
1. 왈츠와 왈트-핵심 질문 : 동맹은 무엇에 기초해서 만들어지는가
2. 상대적 힘과 위협에 대한 대응
3. 동맹의 본질과 결정 요인
4. 왈트 이론과 위협 개념에 대한 반론
5. 위협 및 동맹 개념의 발전
제3부 국내정치의 중요성과 국제정치이론
제6장 러셋: 민주주의 국가들은 서로 전쟁을 하지 않는다
1. 왈츠와 러셋-핵심 질문 : 국내정치는 국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실로서의 민주주의 평화
3. 고전적 이상주의의 부활
4. 민주주의 평화에 대한 설명 : 민주주의 국가의 차별적인 행동
5. 민주주의 평화에 대한 반론과 경계
6. 민주주의 평화 이론의 발전
제7장 스나이더: 국내정치가 국가의 대외 행동을 결정한다
1. 왈츠와 스나이더-핵심 질문 : 국내정치는 국가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민주주의 평화와 미국의 정책 처방
3. 민주화와 민족주의
4. 민주주의와 대외팽창
5. 스나이더 이론의 발전
제4부 국제제도의 중요성과 국제협력
제8장 코헤인: 정보 부족이 문제의 근원이다
1. 왈츠와 코헤인-핵심 질문 : 국제적 무정부 상태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2. 국제협력의 정의
3. 국제적 무정부 상태와 협력의 장애물
4. 국제제도의 지속성과 국가이익 그리고 세력균형
5. 국제제도의 준수
6. 코헤인 이론의 발전
제9장 오이: 무정부 상태에서 국가들은 협력하기도 한다
1. 왈츠와 오이-핵심 질문 : 국제적 무정부 상태에서 국가들의 협력은 어떻게 가능한가
2. 국제협력을 결정하는 상황
3. 국제협력에 영향을 주는 전략
4. 안보와 정치경제 분야에서의 국제협력과 실패
5. 국제협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이론의 발전
제5부 국제정치에서의 문화와 정체성
제10장 웬트: 국제적 무정부 상태에서의 서로 다른 정체성
1. 왈츠와 웬트-핵심 질문 : 국제체제에서 사회적 측면은 존재하는가
2. 국제체제와 개별 국가 그리고 상호작용
3. 국제적 무정부 상태의 문화 유형
4. 국제적 무정부 상태에서 과정과 구조
5. 웬트의 공헌과 문제점
제11장 존스턴: 국가의 사고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1. 왈츠와 존스턴-핵심 질문 : 모든 국가는 동일하게 생각하는가
2. 전략문화의 독립적인 존재와 과학적 측정
3. 중국의 전략문화와 군사력 사용 형태
4. 전략문화와 현대 중국의 대외행동
5. 존스턴 이론의 발전
제6부 왈츠 이론의 분석과 응용
제12장 월터: 민족분규의 종식은 외부의 개입을 요구한다
1. 왈츠와 월터-핵심 질문 : 내전 종식을 위해 무정부 상태를 어떻게 극복하는가
2. 민족분규의 중요성과 이론적 설명의 한계
3. 민족분규해결을 위한 협상과 합의안 이행 문제
4. 민족분규해결 과정 전반에 대한 분석
5. 월터 이론의 발전
제13장 파월: 순수한 형태의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1. 왈츠와 파월-핵심 질문 : 국가는 무정부상태에서 어떻게 행동하는가
2. 완전하게 도식화된 국제적 무정부 상태의 의미
3. 외부 위협에 대한 대응 : 어느 정도의 자원을 투입하는가
4. 상대적 세력균형에 대한 대응 : 타협과 전쟁을 어떻게 선택하는가
5. 외부 위협에 대한 동맹 전략 : 어떠한 국가와 힘을 합하는가
6. 파월 이론의 중요성과 공헌
결론 : 30년간의 변화와 발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