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로부터 이어진 우리와 일본 간의 교류의 역사를 말해주는 일본의 유적들을 탐사한 책. 지난 2015년 한일 수교 50년을 맞아 기획된 이 책은 2015년 하반기 「동아일보」에 연재된 '수교 50년, 교류 2000년' 시리즈를 수정하여 엮은 것으로, 한반도와 일본 열도가 교류한 2,000년의 세월을 톺아본다.
목차
서문
1부 | 일본 안의 백제에 가다 1. 한일 관계, 길고 깊은 우애의 역사 2. 일본에 벼농사를 가르치다 3. 일본에 청동과 토기를 전하다 4. 일본 문화의 아버지, 백제인 왕인 5. 오사카를 완성한 백제 도래인들 6. 닌토쿠 왕가의 비밀 7. 일본에서 태어난 백제 무령왕 8. 무령왕 출생지를 가다 9. 일본 왕실에 흐르는 백제인의 피 10. 백제계를 중용한 ‘교토의 신’ 간무 왕 11. 칠지도에 담긴 고대 한일 교류사 12. 한반도와 일본의 역사를 뒤바꾼 백강 전투 13. 백제 유민들의 마지막 방어선 14. ‘리틀 백제’ 신도시 히라카타 15. 백제 마을 난고손
2부 | 일본에 뿌리 내린 한반도 문화를 찾아 16. 일본 문화의 거름이 된 철, 말, 토기를 전하다 17. 고구려인의 흔적들 18. 교토 번영의 씨앗을 뿌린 신라인들의 흔적 19. 백제왕족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들 20. 일본 문화를 눈부시게 발전시킨 백제의 테크노크라트 21. 또 하나의 백제 오사카 22.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불교를 전수하다 23. 한반도의 최첨단 종합 예술이 집약된 건축물 24. 한일 화공들이 합작한 호류사 금당 벽화 25. 불교가 승리한 일본에 지어진 첫 관영 사찰 26.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빼닮은 일본 국보 1호 27. 도래인의 기술로 꽃핀 일본 독자 문화의 상징 28. 민중의 구제자 교키 스님 29. 한반도의 선물을 간직한 나라 문화 타임캡슐 30. 한일 교류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일본의 사찰들 31. 해상왕 장보고와 일본 불교의 인연 32. 일본 도자 산업의 조상 이삼평 33. 일본 도자의 비밀을 간직한 조선 도공들의 넋을 기리다 34. 일본에서 틔운 조선 도자의 씨앗, 심수관 가문
3부 | 조선 통신사의 길을 따라서 35. 통신사는 왜 일본으로 갔을까 36. 쓰시마 섬의 명운을 건 국서 위조 사건 37. 통신사의 숙소로 애용된 세 번째 섬 38. 성신교린을 강조한 아메노모리 호슈 39. 상차림에서 나타난 극진한 예우 40. 한일 관계의 관문 시모노세키 41. 객지에서 눈 감은 조선 통신사의 혼을 달래다 42. 통신사들이 존경했던 벳슈 소엔 스님 43. 통신사가 가는 곳마다 몰려든 사람들 44. 한일 우호를 향한 2,000킬로미터의 여정
후기
서가브라우징
시진핑은 왜 김정은을 죽이려는가 : 시진핑의 숨겨진 야망과 북중관계의 진실2015 / 곤도 다이스케 지음 ; 이용빈, 노경아 옮김 / 한국경제신문
기로에 선 북중관계 : 중국의 대북한 정책 딜레마2013 / 정덕구 ; 추수룡 외 지음 / 중앙books
한국영토 독도의 '고유영토론' : 미국과 일본의 영토팽창론을 경계하다2014 / 저자: 최장근 / 제이앤씨
동북아시아 영토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대립에서_대화로2013 / 와다 하루키 지음 ; 임경택 옮김 / 사계절출판사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2012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지음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under the Abe administration, and Korea-Japan relations2013 / 도시환, 박진우, 서현주, 장세윤, 진창수, 최운도, 하종문 지음 / 동북아역사재단
라틴 아메리카, 미국, 세계2010 / 피터 H. 스미스 지음 ; 이성형 ; 홍욱헌 옮김 / 까치
모순의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사2013 / 디오세기 이슈트반 지음 ; 김지영 옮김 / HUE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