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해설의 개념과 역사
제1절 해설의 개념
1. 관광자원해설의 정의
2. 관광자원해설의 철학
제2절 관광자원해설의 역사
제3절 관광자원해설의 목적
1. 샤프의 관광자원해설 목적
2. 레위스의 관광자원해설 목적
3. 레그니에르 등의 관광자원해설 목적
4. 틸든의 관광자원해설 목적
제4절 관광자원해설의 원칙과 방법
1. 관광자원해설의 기본원칙
2. 관광자원해설의 방법
3. 탐방로 해설사례
4. 탐방로 해설기술
제2장 관광자원해설사의 자질과 역할
제1절 관광자원해설사의 개념
1. 관광자원해설사의 개념정의
2. 관광자원해설사의 자질
제2절 관광자원해설사의 역할
1. 관광자원해설과 관광안내
2. 관광자원해설사의 분류
3. 관광자원해설사의 역할
4. 관광안내사의 역할
제3절 관광자원해설사의 역사
1. 관광자원해설사의 국내역사
2. 관광자원해설사의 해외 운영사례
제3장 관광자원해설의 구성과 기대효과
제1절 관광자원해설의 구성
1. 해설사, 참여자, 해설할 거리
2. 대상물, 수용자, 매체
제2절 구성요소의 특성
1. 관광객의 심리
2. 해설수용자
3. 해설을 전달하는 해설매체
제3절 관광자원해설의 핵심요소
제4절 관광자원해설의 기대효과
1. 참여자 측면의 기대효과
2. 사회적 측면의 기대효과
3. 기대효과의 종합
제4장 해설관련 이론
제1절 커뮤니케이션 이론
1. 커뮤니케이션
2. 설득커뮤니케이션
3. 설득커뮤니케이션과 해설
제2절 관광자의 관광 경험과 환경지각
1. 관광 경험에 관한 이론적 배경
2. 관광 경험의 지각수준 결정모형과 강화수단 모색
제3절 몰입
1. 칙센트미하이의 최적경험
2. 몰입에 관한 모형들
제4절 체험
1. Pine과 Gilmore 체험
2. 체험에 대한 또 다른 연구
제5절 관광자의 태도 형성과 변화
1. 설득커뮤니케이션에 의한 태도 형성
2. Hungerford의 KAB 태도형성 모형
제5장 테마가 있는 해설
제1절 테마와 테마개발
1. 테마란?
2. 테마의 연구와 선택
제2절 메시지 작성을 통한 테마개발
제3절 마인드맵을 활용한 테마연구와 개발
제4절 다양한 분야의 해설
제6장 스토리텔링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해설
제1절 스토리, 스토리텔링
1. 이야기
2. 스토리텔링
제2절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해설
1. 교육과 놀이
2. 해설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술
3.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해설시나리오
제3절 창조적 해설기법
1. 캐릭터 창조
2. 이야기 들려주기
3. 안내된 이미지
4. 인형에 의한 해설
5. 음악
6. 예술
제7장 시나리오 쓰기, 해설체계 구축
제1절 시나리오 작성의 흐름
제2절 대상의 특성에 대한 이해
제3절 테마선정
제4절 자료의 분석 및 종합
제5절 멈춤 기획
제6절 체험도구 개발과 진행계획
제7절 시나리오 작성
제8장 한국의 대표 문화자원 소개
제1절 유네스코 세계유산
1. 세계유산의 정의
2. 세계유산의 종류
3. 세계유산의 가치
제2절 한국의 대표적 문화유산의 소개
1. 종묘
2. 창덕궁
3. 불국사와 석굴암
4. 수원화성
5. 한국의 역사마을
제3절 유네스코 등재 한국의 세계무형유산 소개
1.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2. 판소리
3. 강릉단오제
4. 강강술래
5. 남사당놀이
6. 영산재
7. 처용무
8. 아리랑
제4절 유네스코 등재 한국의 세계기록문화유산
1. 훈민정음
2.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3. 동의보감
4.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제9장 한국의 대표적 자연자원 소개와 표준해설
제1절 한국의 대표적 자연자원
제2절 람사르 등재 습지
1. 람사르 협약
2. 창녕 우포늪
3. 순천만 갈대숲
4. 철원 철새도래지, 천연기념물 245호
제3절 표준해설, 수원 화성을 대상으로
제10장 현장 전달기술
제1절 관광자원해설의 커뮤니케이션
1. 관광자원해설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2. 관광자원해설의 커뮤니케이션 기술
제2절 복장과 태도
1. 복장
2. 태도
3. 믿음을 얻는 기법
제3절 생동감 넘치게 하는 해설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