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보행도시 : 좋은 보행환경의 12가지 조건
  • 보행도시 : 좋은 보행환경의 12가지 조건

    발행연도 - 2011 / 오성훈 ; 남궁지희 [공]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도서관 인천시청 행정자료실도서관
    • 자료실 [인천시청행정자료실]행정자료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PM0000024458
    • ISBN 9788993216714
    • 형태 ix, 418 p. 25×25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 위생, 도시, 환경공학
    • 카테고리분류 경제/경영 > 경영 > 경영전략/혁신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본서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우리 주변의 도시환경을 돌아보고, 좋은 보행환경에 필요한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책이다. 보행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 성과와 제도적 기준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현실에서 보행환경을 둘러싼 갈등의 구조적인 원인과 쟁점들을 짚어봄으로써, 보행환경이 가지는 복잡성과 다양성을 부족하나마 총체적인 그림으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보행도시 / 서론 An Introduction to the Pedestrian City

제1부: 걸을 수 있는 보행환경 _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 Part 1. Basic Requirements for Pedestrians
1.0 보행자를 위한 공간 / Space for Pedestrians
1.1 보행자와 공간
1.2 보행공간의 결정 요인
1.3 보행공간의 실태와 문제점
1.4 보행공간 확보 방안
1.5 소결: 보행자를 위한 공간
2.0 보도와 표면 / Footway and Surface
2.1 보도 포장의 구조와 성능
2.2 보도에 나타나는 문제점
2.3 보도 성능 개선 방안
2.4 소결: 보도와 표면
3.0 보행자의 안전 /Pedestrian Safety
3.1 보행자와 교통안전
3.2 심리적, 사회적 안전
3.3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방안
3.4 소결: 보행자의 안전

제2부: 걷기 쉬운 보행환경 _ 더 쉽고 빠르고 편리한 이동과 접근을 위한 기능적인 조건 Part 2. Access and Mobility for Pedestrians
4.0 보행의 연결성 / Connectivity
4.1 보행활성화의 조건
4.2 보행 네트워크의 특성
4.3 보행경로의 왜곡 요인
4.4 보행의 연결성 증진 방안
4.5 소결: 보행의 연결성
5.0 보행의 연속성 / Continuity
5.1 보행의 연속성
5.2 보행의 단절 요인
5.3 보행의 연속성 강화 방안
5.4 소결: 보행의 연속성
6.0 길찾기와 가독성 / Legibility
6.1 길찾기 과정의 특성
6.2 길찾기의 환경적 요인
6.3 길찾기의 쟁점
6.4 보행자를 위한 안내정보
6.5 소결: 길찾기와 가독성

제3부: 걷고 싶은 보행환경 _ 더 쾌적하고 즐겁고 특별한 경험을 위한 질적인 조건 Part 3. Quality of Places for Pedestrians
7.0 감각과 쾌적성 / Sense and Comfort
7.1 보행의 감각적 특성
7.2 보행의 쾌적성을 좌우하는 조건
7.3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 방안
7.4 소결: 감각과 쾌적성
8.0 즐거움과 매력 / Pleasure and Attraction
8.1 보행환경과 즐거움
8.2 매력적인 보행환경을 만드는 요인
8.3 보행의 즐거움을 저해하는 요인
8.4 즐거운 보행환경 조성 방안
8.5 소결: 즐거움과 매력
9.0 장소와 맥락 / Place and Context
9.1 보행환경과 장소성
9.2 장소의 차별화 전략
9.3 장소성을 위협하는 요인
9.4 보행환경과 장소만들기
9.5 소결: 장소와 맥락

제4부: 함께 걷는 보행환경 _ 더 나은 보행환경을 위한 사회적인 가치 Part 4. Community Values of Walkability
10.0 함께 만드는 보행환경 / Collaborative Walkability
10.1 보행환경과 공공성
10.2 보행환경과 거버넌스
10.3 보행환경 조성과정의 문제점
10.4 참여와 협력 활성화 방안
10.5 소결: 함께 만드는 보행환경
11.0 모두를 위한 보행환경 / Inclusive Walkability
11.1 보행환경에 대한 권리
11.2 교통약자와 보행약자
11.3 보행약자의 이동 실태와 문제점
11.4 모두를 위한 보행환경 조성 방안
11.5 소결: 모두를 위한 보행환경
12.0 지속가능한 보행환경 / Sustainable Walkability
12.1 지속가능성과 보행환경
12.2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의 조건
12.3 보행환경의 지속가능성 증진 방안
12.4 소결: 모두를 위한 보행환경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 발굴 연구= Exploring the values of the Hanok in the humanities. 3, 한옥의 자연관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 발굴 연구= Exploring the values of the Hanok in the humanities. 3, 한옥의 자연관 2014 / 이강민, 박민정, 엄운진 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옥 부분수선에 관한 거주자 면담 및 점검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ounseling and ispection cases of partial repair of hanok in Seoul: 서울시 한옥을 대상으로 한옥 부분수선에 관한 거주자 면담 및 점검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ounseling and ispection cases of partial repair of hanok in Seoul: 서울시 한옥을 대상으로 2015 / 심경미; 진태승 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목재수종 및 제재방법에 따른 단가변화 연구= Material cost variations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wood in hanok buildings: 한옥주택 건축공사비를 중심으로 목재수종 및 제재방법에 따른 단가변화 연구= Material cost variations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wood in hanok buildings: 한옥주택 건축공사비를 중심으로 2015 / 이강민; 이종민; 이민경 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옥 공공건축물 발주절차 개선방안= Improvement of a project delivery system for hanok public building - focused on the design phase: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한옥 공공건축물 발주절차 개선방안= Improvement of a project delivery system for hanok public building - focused on the design phase: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2015 / 신치후; 김가람 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1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1 2013 / 김상호 [외]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2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2 2014 / 서수정 [외]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농촌 경관관리체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from the aspect of land management. 1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농촌 경관관리체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from the aspect of land management. 1 2015 / 이상민 [외]지음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보행도시 : 좋은 보행환경의 12가지 조건 보행도시 : 좋은 보행환경의 12가지 조건 2011 / 오성훈 ; 남궁지희 [공]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녹색성장을 위한 자전거 중심 교통체계 구축 방안  : 도로 다이어트를 중심으로 녹색성장을 위한 자전거 중심 교통체계 구축 방안 : 도로 다이어트를 중심으로 2009 / 신희철 ; 이훈기 [공]저 / 한국교통연구원
중장기 환경전망 연구= (A)Korean environmental model build-up road-map 중장기 환경전망 연구= (A)Korean environmental model build-up road-map 2013 / 강성원 [외]연구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유기성 폐자원의 효율적 에너지화를 위한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유기성 폐자원의 효율적 에너지화를 위한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2013 / 한상운 [외]연구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 취약계층의 환경복지 정책연구. Ⅰ 기후환경 취약계층의 환경복지 정책연구. Ⅰ 2013 / 박정규 [외]연구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온실가스 감축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Current status of climate change policy mix and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감축목표달성을 위한 비용효과적 정책혼합. Ⅰ 온실가스 감축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Current status of climate change policy mix and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감축목표달성을 위한 비용효과적 정책혼합. Ⅰ 2013 / 강희찬 [외]연구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 원자력을 중심으로. Ⅰ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 원자력을 중심으로. Ⅰ 2013 / 이창훈 [외]연구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관리정책 변화와 개발제한구역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 국토환경관리정책 변화와 개발제한구역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 2013 / 전성우 [외]연구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  : 정석 교수의 도시설계 이야기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 : 정석 교수의 도시설계 이야기 2013 / 정석[지음] / 효형출판
랜드마크; 도시들 경쟁하다  : 수직에서 수평으로, 랜드마크의 탄생과 진화 랜드마크; 도시들 경쟁하다 : 수직에서 수평으로, 랜드마크의 탄생과 진화 2014 / 송하엽 지음 / 효형출판
활기찬 도심 만들기 : 도시설계와 재생의 원칙 활기찬 도심 만들기 : 도시설계와 재생의 원칙 2018 / 지음: 사이 포미어 ; 옮김: 장지인, 여혜진, 김광중 / 대가
안전디자인으로 대한민국 바꾸기 안전디자인으로 대한민국 바꾸기 2015 / 엮음: (사)한국도시설계학회 홍보 안전디자인연구회 / 미세움
보도블록은 죄가 없다 보도블록은 죄가 없다 2018 / 지음: 박대근 / 픽셀하우스
기후, 에너지 그리고 녹색 이야기 기후, 에너지 그리고 녹색 이야기 2010 / 김도연 지음 / 생각의나무
도시의 재구성 : 쉼 없이 진화하는 도시 르포르타주 도시의 재구성 : 쉼 없이 진화하는 도시 르포르타주 2017 / 지음: 음성원 / 이데아
우리의 미래, 환경이 답이다 우리의 미래, 환경이 답이다 2017 / 지음: 이병욱, 이동헌, 강만옥 / 프리이코노미라이프
대학생을 위한 하수처리의 이론과 설계 대학생을 위한 하수처리의 이론과 설계 2017 / 저: 이우범 /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2009 / 김민수 지음 / 그린비
City 50  :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교통 City 50 :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교통 2016 / 지음: 정병두 / 한숲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에너지와 환경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에너지와 환경 2002 / 최기련 ; 박원훈 지음 / 김영사
중국 없는 세계 : 중국, 경제, 환경의 불협화음에 관한 8년의 기록 중국 없는 세계 : 중국, 경제, 환경의 불협화음에 관한 8년의 기록 2011 / 조나단 와츠 지음 ; 윤태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탄소제로도시 마스다르의 도전  : 미래 녹색성장 첨단 혁신경영 모델 탄소제로도시 마스다르의 도전 : 미래 녹색성장 첨단 혁신경영 모델 2009 / 임은모 지음 / 한국학술정보
녹색성장 바로 알기  = (The) right way to know about green growth 녹색성장 바로 알기 = (The) right way to know about green growth 2011 / 김형국 편저 / 나남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