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의 왕비에 주목한 책. 왕비의 법적 지위는 물론, 그녀들이 왕비가 되는 순간부터 궁궐에서의 일상, 왕비를 둘러싼 친인척과 정치세력 등 여러 가지 측면을 복합적으로 살핌으로써 왕비의 일상적 삶과 역사적 자취를 복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조선시대의 왕비 / 심재우
1 왕비의 위상과 역할
왕비를 보는 시각
왕비의 지위와 역할
2 왕실 여성의 위계와 왕비의 궁중생활
왕비ㆍ후궁의 위계와 호칭
왕비의 간택 과정과 궁중생활
3 다양한 왕비의 모습들
역사에 기록된 왕비와 후궁
왕비를 어떻게 조명할 것인가
제1부 왕비의 간택과 책봉 / 임민혁
1 만민을 친히 하는 혼례, 가례
가례의 의미
남귀여가혼에서 친영으로
2 금혼령과 왕비의 간택
처녀는 혼인을 금하라
왕이 맞선을 보다
왕비는 덕성을 갖춘 문벌 출신이어야
3 왕은 왕비와 혼인해야
조선 역대 왕의 가례와 어의동본궁
육례를 행하다
왕비를 책봉하다
4 왕이 왕비와 한 몸 되기
왕비를 친히 모셔오다
동뢰연으로 한 몸 되다
5 왕비가 되는 마지막 절차
왕실의 웃전 뵙기
조상에 예를 갖추다
비로소 왕비가 되다
제2부 아이를 낳고 기르다 / 이순구
1 왕비, 아이를 낳다
왕비의 출산은 왜 중요한가
왕비의 조건
복중에 태를 품다
조선 왕실의 태교법
출산을 준비하다
왕실의 산후조리
2 왕실의 아이는 어떻게 자라는가
유모의 선택, 왕실 육아의 시작
궐 밖에서 자라는 왕실 아이들
왕실의 아이가 아플 때
제3부 왕실 여인의 권력 참여, 수렴청정
1 수렴청정이란 무엇인가
수렴청정이란
수렴청정의 시작
수렴청정의 종결
2 수렴청정을 하는 대비의 권한
의지를 통한 권한 행사
대비의 위차
수렴청정의 운영 규정
3 시기마다 다른 수렴청정
수렴청정의 사례를 고르다
정희왕후,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행하다
문정황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다
수렴청정의 절목을 제정한 대비, 정순왕후
제4부 왕실 여성의 독서와 글쓰기 / 박용만
1 왕실 여성이 되는 첫걸음, 간택
2 궁궐의 삶과 독서
독서를 통한 교육
여가생활 속의 독서
3 글쓰기를 통한 문필의 모습
한글 편지를 통한 글쓰기
인목왕후의 한시와 정명공주의 글씨
『한중록』에 나타난 궁중의 고단한 삶
제5부 왕비와 왕실의 외척 / 이왕무
1 왕실 외척의 위상과 존재
왕실의 외척의 등장
왕실 외척의 형성
왕실 외척의 성장
2 왕비와 외척의 관계
국정을 좌우한 왕비와 외척
모범적인 왕비와 외척
제6부 왕비와 궁중 여성들 / 신명호
1 왕비와 궁중 여성들의 관계
궁중 여성의 신분과 차별
왕비와 왕족 여성들의 관계
왕비와 궁녀의 관계
2 후궁의 삶
조선 건국 후 후궁제도의 정비
후궁의 종류와 역할
후궁의 삶과 죽음
부록
왕비 가계도
왕비를 배출한 가문
왕을 낳은 곳, 낳은 날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