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키워드로 한국문화를 읽을 수 있는 '키워드 한국문화' 시리즈 7권. 황제나 왕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붙이는 호, 묘호. 삼국시대에서 시작해, 마침내 조선의 '예'를 상징하게 된 묘호는, 조상의 지혜가 온축되어 있는 거대담론의 결정체다. 태조, 세종, 정조…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왕의 이름인 '묘호'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1. 삼국시대 국왕의 묘호 신라 고구려와 백제
2. 황제국의 묘호를 사용한 고려
3. 조선, 묘호로 예를 바로세우다 이름을 올려 나라의 정통을 세우다 묘호의 제정원리인 종법과 조공종덕 종묘의 신주에 깃든 이름 묘호를 쓸 것인가, 시호를 쓸 것인가 외교분쟁으로 비화된 묘호 사용 논란
4. 이름으로 국왕의 공덕을 평가하다 반정으로 즉위한 국왕은 조인가, 종인가 성종의 시자를 놓고 훈구와 사림이 대립하다 종을 조로 고쳐야 권위가 높아진다
5. 3백 년, 공정왕이 묘호를 받기까지 유일하게 왕을 칭한 공정왕, 정종 이방원이 종통을 가로채다 공정왕은 정통 군주가 아니다 죄 없는 공정왕, 조호를 받다
6. 대한제국의 황데, 그 아픈 이름 화엦로 즉위한 고종, 황권을 천명하다 7대조의 황제 추봉 대한제국의 황실의 지위 변화 고종의 황제 호칭 말살 음모 총독부의 고종 시호 무효화 책동 대한제국 황제 칭호의 소멸론을 폐기하다
7. 묘호의 의미
주 키워드 속 키워드 1 시법 2 시호는 하늘이 내리는 이름 3 시호와 존호, 휘호의 차이 4 묘호의 결정 과정 5 시법이 무너지다 6 공정왕의 생애 7 흥선대원군도 왕이다
서가브라우징
삼국의 세력다툼과 중국과의 전쟁2000 / 이이화 / 한길사
남국 신라와 북국 발해2000 / 이이화 / 한길사
최초의 민족통일국가 고려2000 / 이이화 / 한길사
무신의 칼 청자의 예술혼2000 / 이이화 / 한길사
몽골의 침략과 30년 항쟁2000 / 이이화 / 한길사
개혁의 실패와 역성혁명2000 / 이이화 / 한길사
조선의 건국2000 / 이이화 / 한길사
왕의 이름, 묘호 : 하늘의 이름으로 역사를 심판하다2010 / 임민혁 지음 / 문학동네
(암살로 읽는)한국사 : 우거왕부터 김구까지 한국 역사를 뒤흔든 죽음들2011 / 정명섭, 박지선 지음 / 청아출판사
(5천 년 역사가 단숨에 이해되는)최소한의 한국사 2023 / 지음: 최태성 / 프런트페이지
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2019 /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 인물 vs 인물 : 한국사와 세계사를 넘나드는 시시콜콜 역사 토크 2016 / KBS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제작팀, 이원복, 신병주, 이정민, 박대식, 김정희 지은이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