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은 내러티브다. 코칭은 단지 해결책만을 찾는 수단이 아니라, 코치와 코치이의 상호협력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하는 예술 행위이다. 내러티브 상호협력 코칭은 목표에 도달하고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시키는 논변술과 달리, 코치이의 내면에 깃들어 있는 진정한 힘을 이끌어내는 변증법적 대화이다.
목차
저자 소개 서문 감사의 말 발행사 한국어판 서문: 3세대 코칭 안내서 역자 서문
1장 입문 1.1 지식독점의 붕괴 1.2 새로운 코칭 개념의 필요성 1.3 코칭이란 무엇인가? 1.4 책의 목표와 구조
2장 코칭의 기원과 발전 2.1 사회적 정당성: 탈근대 도전에 대한 해답으로서 코칭 2.2 코칭, 정체성, 자기구성: 코칭 대화를 통해 발견되는 자기 2.3 코칭과 학습: 개인 경험과 상호협력 사이 2.4 조직과 리더십의 이론적 관점에서 코칭 2.5 맺음말
3장 코칭과 코칭심리학의 개입 이론들 3.1 특별한 대화 형식으로서 코칭 3.2 코칭 대화의 기본 의도 3.3 코치의 기본 방향 3.4 코칭의 기본 이론과 역할 3.5 추가 이론들 3.6 맺음말
4장 내러티브 상호협력 코칭: 이론과 실제 4.1 왜 내러티브 상호협력 실천으로 코칭해야 하는가? 4.2 인식론적 기초: 현상학과 사회구성주의 사이의 격차 해소 4.3 코칭에서 내러티브 상호협력 실천 4.4 맺음말
5장 코칭 사례 및 효과 연구 5.1 사례 연구 5.2 인지된 효과: 내러티브 분석 5.3 통계적 효과: 사회적 회복과 웰빙 5.4 연구 프로젝트 결론 5.5 맺음말
6장 연구, 지식, 성찰 사이의 전문적 실천 6.1 근거 기반 실천과 실천 기반 근거 6.2 코칭 실천 지식 기반 6.3 지식, 실천, 전문성 개발하기 6.4 사실과 직감 사이의 지식
7장 코칭 전문가들의 성찰적 실천 7.1 피터 7.2 스티븐 7.3 캐서린 7.4 마르타 7.5 프랙티셔너 성찰에 대한 성찰 7.6 재고
8장 결론
참고문헌 색인
서가브라우징
여자, 내 몸을 만나다 : 전문가도 놓치는 엄마도 안 알려준 성교육2018 / 지음: 다니엘르 플로멘봄, 옮김: 임말희 / 눈
트라우마여, 안녕 : 생존 이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2016 / 지음: 렌스 곤잘레스, 옮김: 한진영 / 책세상
어떻게 죽음을 마주할 것인가 :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임종학 강의2017 / 지음: 모니카 렌츠 ; 옮김: 전진만 / 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