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의 의미와 이론, 국제개발협력, 개발교육까지 ‘개발’에 관한 담론을 폭넓게 다룬다. 해당 주제에 대한 학문적 관심뿐만 아니라 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교육자 모두를 아우르는 책이라 할 수 있다. 또 이 책은 국제개발협력 분야뿐 아니라 변화하는 글로벌 사회에서 기존에 다뤄지지 않았던 개발교육을 함께 논의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_ 개발(발전) 이해하기 1. 개발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2. 개발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3. 개발의 역사적 기원과 관점 4. 개발 지표와 개발 측정하기 5. 공간과 개발: 왜 공간은 중요한가? 6. 공간적 불평등과 빈곤을 정의하고 측정하기 주
제2부_ 개발이론 및 이데올로기에 대한 탐색 1. 개발이론과 이데올로기 2.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그리고 근대화이론 3. 개발에 대한 급진적 접근: 종속이론에서 인간 중심 개발 접근까지 4.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개발 5. 상향식 개발로서 풀뿌리 개발 6.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지속가능성 7. 포스트식민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그리고 포스트개발 주
제3부_ 국제 협력을 통한 개발 격차 줄이기 1.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2. 글로벌 불평등 해소와 사회·공간정의 3.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와 공적개발원조(ODA) 4. 다자개발기구: UN에서 국제개발 금융기관까지 5. 개발 NGO와 시민사회, 국제민간재단과 민간기업 6.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해외 협력 7. 빈곤 타파를 위해 노력하는 개인들 주
제4부_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실천 1. 개발교육의 역사와 전통 2. 개발교육이란 무엇인가? 3. 학교 교육과 개발교육(1): 영국을 사례로 4. 학교 교육과 개발교육(2): 오스트레일리아를 사례로 5. 학교 교육과 개발교육(3): 일본을 사례로 6. 개발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탐색 7.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 담론 분석 8. 개발교육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OSDE 탐색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