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와 영희를 위한 사회 읽기 시리즈 2권. 종교, 차별, 여성, 법 등을 주제로 최근 한국 사회에서 혐오 현상이 왜 이렇게 심각해졌는지 진단해보고, 차별과 혐오를 넘어 평화롭게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차별과 혐오를 넘어
1강. 혐오주의적 대중 정치와 교회 / 김진호[제3시대 그리스도교연구소 이사] 거리에 선 기독교 ‘광신도’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한국 교회의 성장기-산동네에서 강남 한복판으로 변화와 성찰의 시간 혐오의 메커니즘-왜 고통은 혐오가 되는가
2강. 혐오, 차별, 그리고 종교: 실선에서 점선으로 / 이찬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내적 체험과 그 표현으로서의 종교 경계의 안과 밖 경계는 실선이 아니라 점선이다 혐오-내 안의 두려움 ‘거룩함’의 이면 거룩함이 혐오와 연결될 때 희생양 만들기 사회의 거울, 소수자 형식에 갇힌 하느님 종교의 경계는 점선 국경의 점선화 사랑과 자비의 공동체
3강. 미소지니, 여성이라는 따옴표 / 김홍미리[여성주의 연구 활동가] 여자들의 진정한 재능? 사라진 여성들: “언제 이렇게 여자가 많아진 거야?” ‘남성’의 등장과 위치 변동: ‘여성’의 보호자에서 성평등의 연대자로 ‘남성 혐오’가 불가능한 이유 광장에서 만난 미소지니 성적 수치심을 느끼는 신체 부위는 어디?: 몸 통합성(bodily integrity) 듣는 이의 책임 먼저 알아채고 싸워온 사람들 일상을 다르게 마주하기
4강. 혐오 표현, 어떻게 대응할까? / 박미숙[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혐오의 실상 혐오 표현의 발생 실태 어디에나 있는 혐오 표현 누가 혐오를 말하는가 혐오가 우리에게 미치는 효과 혐오 표현의 규제 혐오 표현에 대응하기 혐오가 아닌 대화와 설득
서가브라우징
누가 지구를 망치는가 2022 / 지음: 반다나 시바, 카르티케이 시바 ; 옮김: 추선영 / 책과함께
나는 에이지즘에 반대한다2016 / 지음: 애슈턴 애플화이트 ; 옮김: 이은진 / 시공사
생각의 주인은 나: 합리적이고 공정한 사회로 이끄는 사고 나침반2017 / 지음: 오승현, 그림: 안병현 / 풀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