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교육연극의 이론 부분으로 교육연극의 개념, 종류 및 효과를 다루고 있으며, 2부에서는 필자가 경험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실행한 교육연극의 실제 사례 부분을 다루고 있다. 3부에서는 교육연극의 미래 부분으로 교육연극의 전망을 다루고 있다.
목차
PART 1 교육연극의 이론 1. 교육연극의 개념 2. 교육연극의 종류 1) D.I.E(Drama In Education) 2) 창의적 드라마(Creative Drama) 3) T.I.E(Theatre In Education) 4) Process Drama 5) Youth Theatre 6) 어린이 연극(Children’s Theatre) 3. 교사의 역할 1) 포럼 연극(Forum Theatre)에서의 조커 2) 전문가의 망토(Mantle of the Expert)에서의 교사 3) 역할 속 교사 4) 교육연극의 교육적 효과 5) 교육연극의 활용 분야
PART 2 교육연극의 실제 사례 연구 1. 다문화교육에서 또래관계 변화를 위한 교육연극 1) 사례의 맥락 2) 프로그램 실행 전 단계 3) 프로그램 실행 단계 4) 프로그램 결과 5) 결론 2. 다문화교육에서 공조학습을 위한 교육연극 1) 배경 2) ‘나’를 드러냄으로써 ‘우리’가 되는 수업 3. 학교폭력예방교육에서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1 1) 배경 2) 수업 목표 및 방법 4. 학교폭력예방교육에서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2 1) 배경 2) 수업 목표 및 방법 5. 공감교육에서의 교육연극 1) 사례 배경 2) 사례의 맥락 3) 프로그램의 개발과 주요 내용 4) 사례 결과 5) 결론 및 논의
PART 3 교육연극의 미래 1. 교육연극 활용 시 고려사항 2. 교육연극은 교육인가? 연극인가? 3. 교육연극의 동향과 미래전망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뇌는 수학을 어떻게 배우는가?2018 / 지음: David A. Sousa ; 역자: 신재한, 박기범, 백종훈 / 신한출판미디어
우리 아이 수학 영재 만들기: MIT 졸업한 공학자 딸 키워 낸 수학교육학자 전평국의 0-10세 유아 초등 교육법2021 / 지음: 전평국 / 롱테일북스
수학다운 수학 가르치고 배우기2013 / 지음: 조 보아러 ; 옮김:신준식 ; 최창우 ; 김상룡 ; 류성림 ; 최재호 ; 박문환 ; 김진호 ; 이종학 ; 손교용 /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