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진학률 70퍼센트를 훌쩍 넘을 만큼 대학이 강요되는 시대, 주목해야 할 것은 분명히 존재하는 나머지 30퍼센트의 이야기이다. 《우리는 대학을 거부한다》는 존재만으로도 제도권 교육과 주류 사회에 일침을 가할 수 있는 이들의 목소리를 불러낸다.
목차
머리말 대학거부가 궁금한 당신에게
1부 대학은 의무가 아니라 선택이 되어야 한다 - 대학입시거부자들의 이야기 ‘끈’ 하나 없이 살아보겠다는 결의 / 공기 누구에게도 억압당하지 않고, 누구도 억압하지 않는 / 다영 ‘학교’에게서 도망치다 / 이찬우 나의 ‘불순한’ 대학거부 / 호야 낭떠러지에 함께 안전그물을 치자 / 아리데 이 불안과 불행을 ‘함께’ 견디기 위해 / 어쓰 대학거부자가 있음을 알리기 위해 대학거부를 한다 / 왈왈 ‘대학거부’를 만나 다행이야 / 난다 비싼 응급처치 대신 불안을 견디기 / 쩡열 ‘대붕’도 ‘곤’도 아닌 / 한연화 모두 ‘투명가방끈’이 되어 싸운다면 대학은 변한다 / 문동혁 학벌에 대한 문제 제기, 내 삶에서부터 / 박고형준 최연소 의대 합격을 꿈꾸던 나의 대학거부 / 김예림(라일락)
10대의 현실 인터뷰 / 김서린
2부 대학에 물음표를 던지다 - 대학거부자들의 이야기 대학 잘못 온 사람이 던지는 물음표 / 공현 내가 바라는 사회에 적합한 몸을 만드는 일 / 김서린 이름 없는 세대의 건투를 빈다 / 김민수 살아가는가? / 시원한 형 ‘학벌 철폐’라는 긴 싸움을 시작하며 / 고승은 정의가 없는 대학은 대학이 아니기에 / 김창인
20대의 현실 인터뷰 / 호야
3부 완전히 다른 교육은 가능하다 - 투명가방끈이 그리는 새로운 삶과 사회 ‘대학거부 그 이후’ 좌담회 / 자유, 엠건, 찬우, 서린, 호야, 공현 시험과 학교가 없어지면 안 되나? / 공현 대학을 평준화하고 학벌을 해체하자 / 박유리 주인 길들이기 / 김성일 대학·입시거부는 어떻게 운동이 되었나 / 공현
부록 투명가방끈 운동 선언 대학입시거부선언 대학거부선언 대학입시거부 제안 투명가방끈 8대 요구안 투명가방끈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