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표현 및 대항표현의 정의와 기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둘의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낸 책이다. 혐오표현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면서도, 표현의 자유가 갖는 중요성을 놓치지 않고 대항표현의 가능성과 당위를 성실하게 모색한다.
목차
머리말
1 존엄한 삶에 대한 확신의 파괴 _혐오표현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행위 소수자를 겨냥한 낙인 ‘그냥 말’은 없다 언어로 하는 구타 : 모욕 “난쟁이가 욕심도 많다” 온라인이라는 숙주 증오의 촉진 : 선동 “이주여성이 와서 서민들의 일자리를 뺏는다” 교묘히 은폐된 편견들 열등한 신분의 창조 : 종속 “호남 출신 사람들은 뽑지 말라” 표현의 권력은 평등하지 않다 성적 대상화의 문제 묵살과 왜곡의 이중주 : 무시 “그냥 밥하는 아줌마들” 언어가 있어도 말할 수 없는 이유 그들이 원한 것이다? × 어떤 게 혐오표현일까?
2 모욕당하고 배제된 타자들의 이름 되찾기 _대항표현 차별과 폭력을 무효화하는 행위 말대꾸의 세 가지 도구 객관적 정황의 재현 : 사실성 거짓에 기초한 혐오표현의 논박 ‘예멘 합동결혼식’의 진실 관습의 교란 : 정당성 “오백만 년 전에 하던 소리” 을들의 반란 내면에의 호소 : 진정성 혐오의 신화 “부모한테 자식은 지겨울 수가 없어요” 전복, 탈환, 패러디 : 산발적 대항 “남자가 웃어야 집안이 평화롭다” www.하나님은 동성애자들을 사랑하신다.com “성 상품화가 왜 나빠요?” 혐오를 허용하는 사회 : 지속적 대항 개별적 저항의 한계 국가 차원의 말대꾸 “오늘 우리는 ‘혐오의 시대’와 결별을 선언한다” × 좀 더 교묘한 혐오표현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보론 그럼에도 혐오할 자유가 있다고 말한다면 _표현의 자유 진리 논증 표현은 우리를 진리로 이끈다 진리와 관련이 없는 표현들 중립주의의 허점 권리 논증 혐오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누구의 권리인가? 민주주의 논증 공론장의 선결 조건 전쟁터는 수호하지 않는다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 금지하는 것은 설득하는 것이 아니다 일베의 폭식투쟁을 경찰이 보호할 때 역량 논증 사람다운 삶을 위한 무기 “너 하나 병신 만드는 건 일도 아니다”
주
서가브라우징
(광고PR실무를 위한)전략적 커뮤니케이션2019 / 공저: 김유미 [외] / 한경사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리터러시 최고 권위자의 인생 특강!2021 / 지음: 조병영 / 쌤앤파커스
무조건 돈 버는 카카오 이모티콘 만들기2022 / 지음: 김나무 / 중앙books:
(Start up) 엄마와 아이가 함께 하는 스마트폰으로 이모티콘 작가되기 : 내 아이를 소비자에서 개발자로! 2021 / 지음: 임희빈, 최고은 / 아티오
(가장 쉬운) 이모티콘 만들기 2019 / 지은이: 정수진 / 정보문화사
혐오 발언 : 너와 나를 격분시키는 말 그리고 수행성의 정치학2016 / 주디스 버틀러 지음 ; 유민석 옮김 / 알렙
말에 구원받는다는 것 : 삶을 파괴하는 말들에 지지 않기 2023 / 지음: 아라이 유키 ; 옮김: 배형은 / ㅁ :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 모욕당한 자들의 반격을 위한 언어를 찾아서2019 / 지음: 유민석 / 서해문집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2022 / 지음: 이정란 , 지현숙 , 백승주 , 황선영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벽을 뚫는 대화법: 말해봤자 소용없고 참자니 속 터질 때2020 / 지음: 제이슨 제이, 가브리엘 그랜트; 옮김: 김지혜 / 알키
미디어 리터러시, 세상을 읽는 힘2022 / 지음: 강용철, 정형근 / 샘터
미디어 법과 윤리 = Media law and ethics2016 /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좋아요'가 왜 안 좋아? : 미디어 2023 / 지음: 구본권 ; 그림: 허현경 / 나무를심는사람들
통계 모르고 뉴스 볼 수 있어?: 숫자에 속지 않고 세상 읽기2022 / 지음: 구정화 / 다른
미디어 리터러시 쫌 아는 10대: 보이는 대로 보지 않는 법2020 / 지음: 금준경; 그림: 방상호 / 풀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