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시리즈 46권. 조선 후기에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원고와 피고가 변호사를 통해 소송을 벌이는 '법정식' 구성을 통해 동학이 주장한 평등한 세상은 어떤 것이었는지, 동학 농민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다.
목차
책머리에는 교과서에는 연표 등장인물 프롤로그 미리 알아두기 소장
재판 첫째 날 조선 후기의 사회는 얼마나 병들어 있었을까? 1. 수탈당한 백성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열려라, 지식창고_조선 사회의 수취 제도와 환곡 2. 서세동점, 조선은 얼마나 큰 위기에 놓여 있었을까? 열려라, 지식창고_제국주의와 식민지 휴정 인터뷰
재판 둘째 날 동학은 왜 생겨났을까? 1. 최제우는 왜 동학을 만들었을까? 열려라, 지식창고_조선 후기 60여 년간의 세도 정치 2. 동학 사상은 어떻게 발전했을까? 3. 조선 정부와 유생들은 왜 동학을 배척했을까? 휴정 인터뷰 역사 유물 돋보기
재판 셋째 날 동학 농민 운동의 의의는 무엇일까? 1. 동학 교도와 농민들은 왜 동학을 믿게 되었을까? 2. 동학 교도와 농민들은 과연 민란을 꿈꾸었을까? 3. 반봉건, 반외세를 외친 동학 교도와 농민들 휴정 인터뷰
최후 진술 판결문 에필로그 떠나자, 체험 탐방! 한 걸음 더! 역사 논술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얼음 장수 엄기둥, 한양을 누비다2012 / 글: 이영서 ; 정보글: 이욱 ; 그림: 김창희, 김병하 / 사계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