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건축가, 빵집에서 온 편지를 받다 : 세계적 건축가와 작은 시골 빵집주인이 나눈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건축 이야기
발행연도 - 2019 / 지음: 나카무라 요시후미, 진 도모노리 ; 옮김: 황선종 / 더숲
-
도서관
마전도서관
-
자료실
[마전]보존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ML0000013067
-
ISBN
9788994418605
-
형태
203 p. 21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건축공학
>
-
카테고리분류
여행/지리
>
테마여행
>
미술관/박물관/예술기행
책소개
<집을, 순례하다>의 저자 나카무라 요시후미와 홋카이도의 작은 시골 빵집주인 진 도모노리가 편지를 통해 함께 집을 지어간 과정을 담은 책이다. 넘치지 않는 건축과 삶을 꾸려가는 그들의 이야기는 건축의 근원적 의미와 진정한 삶의 태도를 되돌아보게 한다.
목차
머리말 빵으로 만든 집 / 나카무라 요시후미
2009년 3월 7일 처음 뵙겠습니다. 홋카이도 맛카리무라에 사는 진 도모노리라고 합니다
2009년 3월 12일 ‘작은 빵집’의 설계를 기꺼이 맡겠습니다
2009년 6월 10일 저는 빵 가마에도 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2009년 6월 24일 성실한 생활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집의 모습에 눈이 번쩍 떠졌어요
2009년 6월 30일 우리가 사는 곳 정도는 직접 만들어보고 싶었지요
2009년 7월 13일 문제는 목조건물을 가장자리에서 지탱하고 있는 기초 부분이에요
2009년 9월 12일 빵집에서의 세세한 일이나 하루의 흐름 같은 얘기를 주고받아야 할 것 같아요
2009년 9월 20일 걱정했던 대로 창고 기초 보강이 어려운 문제이며……
2009년 10월 3일 새로 짓는 빵집에서도 지금과 변함없는 마음으로 일할 수 있게 되기를
LEMM HUT 순례 | MITANI HUT 순례
2010년 1월 20일
건물에서 나카무라 선생님의 ‘육성’을 들은 듯합니다
두 개의 들보를 십자가의 모양으로 공중에 걸쳐 놓는다면
2010년 1월 28일 건물 한가운데를 통로가 지나감으로써 방 배치에 대해 답답했던 마음도 풀렸어요
2010년 2월 5일 빵을 굽는 일은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해주는 직업이군요
설계 과정에 대해서(1안~7안)
2010년 4월 22일 오래된 들보가 창고와 새로운 건물을 연결해주는 바통 역할을 해주지 않을까요
2010년 4월 30일 이제 은행 대출만 받으면 본격적인 항해가 시작되겠네요
2010년 6월 2일 외벽과 내장을 좋아하는 색으로 칠해서 가게 특유의 멋을 내고 싶어요
2010년 6월 10일 색을 결정하는 즐거움은 서두르지 말고 좀 더 나중에 누리도록 하죠
2010년 6월 30일 중요한 상량식인데 떡 대신 빵을 뿌리면 어떨까요
2010년 7월 6일 기둥이 서고 들보가 올라가고 삼각형 모양의 지붕이 모습을 드러냈을 때 마음이 푹 놓이더군요
2010년 8월 16일 기능성이나 합리성이 뒷받침된 건축이야말로 ‘아름답다’
2010년 8월 16일 굳이 이렇게까지 엄하게 지적해주시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2010년 8월 21일 도모노리 씨는 의뢰인이자 동시에 공동 설계자입니다
2010년 9월 3일 역시 나카무라 선생님의 ‘무서운 레밍하우스 군단!’이었습니다
2010년 9월 6일 직원들은 맛카리무라에서의 성취감에 우쭐대고 있답니다
2010년 10월 12일 따끈따끈한 요리를 식탁에 올려놓기 전에 느끼는 흥분과 긴장이 감돕니다
2010년 11월 1일 일단 가마에 넣으면 가마의 뜻에 맡길 수밖에 없으니, ‘케 세라 세라’를 새기면 어떨까요
2010년 11월 12일 빵굽는 사람에게 잊을 수 없는 기억은 새로운 빵 가마로 첫 빵을 구울 때죠
2010년 11월 20일 건물이 설계자의 손을 떠나, 사는 사람의 손때가 묻으면서 살기 편하게 변해가는 모습은 건축가에겐 기쁨이죠
건축 작업은 계속 이어진다 / 나카무라 요시후미
이렇게 생긴 트리하우스가 좋아요
맺음말 삶을 담은 건축 / 진 도모노리
서가브라우징
생태문제에 종교가 답하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화 두 번째 이야기
2015 / 지음: 종교인 대화 모임 / 운주사
생태문명 생각하기 : 내 삶을 바꾸는 환경철학
2018 / 지음: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엮음 ; 옮김: 이재돈, 정인재, 박혜순, 하유진, 김욱동, 신충식, 박정희, 장회익, 이정전, 김창수, 명수정, 전헌호, 신충식, 김성준, 임의영, 한상운, 김흥회, 임의영, 허찬무, 이재권, 박광국, 이시경, 신동원, 명수정, 이혜영, 이하석 집필 / 크레파스북
지구를 구하는 상상력
2014 / 지음: 탁소 / 싱긋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 : 자본주의 대 기후
2016 / 지음: 나오미 클라인, 옮김: 이순희 / 열린책들
위대한 강의 삶과 죽음 : 금강요정 4대강기
2018 / 지음: 김종술 / 한겨레출판사
천년만년 살 것 같지?
2018 / 지음: 녹색연합, 그림: 박문영 / 홍익출판사
건축, 근대소설을 거닐다: 소설과 건축의 콜라주로 읽는 근대건축 풍속화
2020 / 지음: 김소연 / 루아크
건축가, 빵집에서 온 편지를 받다 : 세계적 건축가와 작은 시골 빵집주인이 나눈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건축 이야기
2019 / 지음: 나카무라 요시후미, 진 도모노리 ; 옮김: 황선종 / 더숲
사물과 사람 사이 : 건축가 이일훈, 카메라로 세상을 읽다
2013 / 지음: 이일훈 / 서해문집
대중의 시대 보통의 건축 : 부르주아를 탄생시킨 8가지 건축
2019 / 지음: 서윤영 / 궁리
마을사람과 뉴타운키즈
2018 / 지음: 이상현 / 발언media(발언미디어)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20세기 건축의 연금술사
2018 / 지음: 에이다 루이즈 헉스터블, 옮김: 이종인 / 을유문화사
(건축가 엄마와 함께)서울 옛길 느리게 걷기
2016 / 지음: 최경숙 / 라의눈
대한민국 쓰레기 시멘트의 비밀 : 발암물질에서 방사능까지, 당신의 집이 위험하다!
2015 / 지음: 최병성 / 이상북스
(건축물 중심)제로에너지도시
2017 / 지음: 이명주 / 마실와이드
같은 주제의 책
집, 도시를 만들고 사람을 이어주다 : 부부 건축가가 들려주는 집과 도시의 숨겨진 이야기들
2014 / 임형남, 노은주 [공]지음 / 교보문고
세계 건축가 해부도감 : 고대부터 현대까지 64명의 위대한 건축가로 보는 건축의 역사
2019 / 지음: 오이 다카히로, 이치카와 코지, 요시모토 노리오, 와다 류스케 ; 옮김: 노경아 / 더숲
건축, 전공하면 뭐하고 살지? : 3040 건축과 선배 11인의 진로멘토링
2016 / 엮은이: 김기훈 ; 류일향 / Spacetime
의심이 힘이다 : 배형민과 최문규의 건축 대화
2019 / 지음: 배형민, 최문규 / 집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 : 동아시아 속 우리 건축
2015 / 지음: 김동욱 / 김영사
(진짜 여행보다 재미있는)세계 건축물 여행 , 황새 필립과 떠나요!:[과제]
2018 / 지음: 스테판카 세카니노바 , 그림: 제이쿱 첸클 , 옮김: 공민희 / 크레용하우스
(페터 춤토르)분위기 : 건축적 환경·주변의 사물
2013 / 글: 페터 춤토르 ; 옮김: 장택수 / 나무생각
정의와 비용 그리고 도시와 건축 : 근대 건축으로 한국사회를 읽다
2014 / 함인선 지음 / 마티
건축의 탄생 : 만화로 보는 건축가 히스토리
2019 / 지음: 김홍철 / 루비박스
(건축가와 동행하는)오감으로 만나는 세계문화유산
2019 / 지음: 최호순 / 아키랩
아시아 건축기행 : 유토피아를 디자인하다
2019 / 강영환 지음 / 한길사
현대 건축을 바꾼 두 거장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vs 미스 반 데어 로에
2013 / 천장환 지음 / Sigongart
청춘, 유럽건축에 도전하다 : 33인 거장들과의 좌충우돌 분투기
2014 / 고시마 유스케 지음 ; 정영희 옮김 / 효형출판
서울 건축 만담 : 두 남자, 일상의 건축을 이야기하다
2014 / 차현호, 최준석 글·사진 / 아트북스
건축이 말을 걸다 : 오래된 건물에 귀 기울이기
2013 / 데이비드 리틀필드 ; 사스키아 루이스 저 ; 온영태 ; 신춘규 ; 이준석 역 / 대가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