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혁신학교 운동의 역사적 흐름, 혁신학교의 민주적 운영 방식 및 교육과정과 수업과정, 혁신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관계, 그리고 서구 혁신학교 운동의 동향과 우리나라의 혁신적 교육운동가 실천 사례 등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추천의 글
여는 글
1장 혁신학교의 출현과 성장
혁신학교의 발단·전개·특징 / 송순재
이미 시작한 본보기 미래학교, ‘혁신학교’ / 손동빈
2장 민주적 학교와 행정의 유기체적 전환
행정 중심에서 교육 중심의 학교로 / 강민정
민주적 리더십이 살아 있는 학교 / 강민정
공동체 생활협약 이야기 / 윤우현
학부모와 함께 하는 교육 / 이희숙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혁신학교 / 강민정
3장 삶을 위한 교육과정
학생과 교사가 주인이 되는 교육과정의 혁신 / 이부영
삶의 교육과정 함께 만들기 / 김정안
4장 함께 만드는 수업과 평가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수업 / 강민정
전문가학습공동체 / 강민정
살아 있는 협동학습 / 이상우
학생이 중심 되는 프로젝트 수업 / 이수미
성장과 발달 중심의 평가 / 손유미
5장 독서 연극 노작 수업
교육혁신과 독서 / 백화현
교육연극으로, 삶에 대화를 건네는 수업 / 구민정
몸과 마음을 살리는 노작교육 / 이부영
6장 스승을 찾아서
성래운 교육론 짚어 보기 / 이주영
이오덕 교육론 짚어 보기 / 이주영
7장 혁신학교를 위한 또 다른 상상력
헬레네랑에슐레 / 송순재
덴마크 자유교육 개방성, 유연성, 다양성에 대하여 / 송순재
온전한 성장을 돕는 발도르프 교육 / 최미숙
공교육의 생명철학적 전환: 프레네 교육 / 김세희
프레네 교육의 혁신 사례 / 김세희
배움의 공동체 / 엄미경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