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래 전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신화, 전설, 민담을 모아 우리 아이들이 삶의 지혜와 생태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국립생태원 연구원들이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새로운 관점의 이야기 정보책이다.
목차
머리말 6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1 |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 1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줄기나 잎 전체에 독특한 향이 나는 풀이 있다고? 1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매운맛을 내는 식물은 무엇일까? 18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2 | 슬픈 그리움의 꽃 백일홍 2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백일홍은 정말 백 일 동안 꽃을 피울까? 2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피어 있는 시간이 아주 짧은 꽃은? 28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3 | 배고픈 여우와 메추라기 3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꽁지가 아주 짧은 새가 있다고? 3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새는 왜 흰 똥을 쌀까? 38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4 | 개와 닭이 사람으로 변신한 까닭 4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수수는 아프리카 사람들이 주로 먹는다고? 44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수수’가 붙는 우리 식물은 무엇이 있을까? 46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5 | 바위에 실려 간 연오랑과 세오녀 4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바닷속에서 자라는 식물이 있다고? 5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바다 식물들은 어떻게 꽃가루를 옮길까? 54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6 | 제주도를 만든 선문대 할망 5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몸에서 실을 뽑아내는 벌레가 있다고? 6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누에를 치려고 심는 나무가 있다고? 62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7 | 당나귀 귀를 가진 경문왕 64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겨울에도 빨간 열매가 달려 있는 나무가 있다고? 6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대나무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70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8 | 하늘로 올라간 버들잎 도령과 연이 7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딸기도 종류가 아주 많다고? 8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우리나라에 사는 여러 종류의 참나물은? 82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09 | 황새의 판결 84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따오기가 황새와 가까운 새라고? 8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꾀꼬리의 울음소리는 그때그때 다르다고? 90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0 | 지네를 도운 총각 9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몸이 열다섯 개가 넘는 마디로 이루어진 동물이 있다고? 9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해충을 잡아먹는 절지동물이 있다고? 100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1 | 호박씨를 먹은 효과 10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호박씨가 하는 역할은 따로 있다고? 10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오이, 수박, 멜론이 호박과 친척이라고? 108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2 | 제값을 받은 인삼 11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인삼은 씨를 뿌리고 6년이 지나야 거두어들인다고? 114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도라지 꽃은 언제 색깔이 변할까? 116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3 | 충신 박제상 11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할미새마다 머무르는 곳이 다르다고? 12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할미새사촌과 할미새는 다른 새일까? 128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4 | 멸치의 꿈풀이 13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가자미 눈은 원래 몰려 있을까? 13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멸치는 모두 몸 크기가 작을까? 138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5 | 앞날을 미리 안 선덕 여왕의 지혜 14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모란은 정말 향기가 없는 꽃일까? 144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모란과 닮은 꽃이 있다고? 146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6 | 괴물 새에게 잡혀간 어머니 14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열매에 가시가 나 있는 식물은? 15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식물들이 씨앗을 퍼뜨리는 방법은? 154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7 | 파랑새가 된 우렁이 각시 15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우렁이는 달팽이랑 사촌이라고? 16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논에 사는 동물 중 벼농사를 돕는 동물이 있다고? 164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8 | 은혜 갚은 느티나무 16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우리 민족과 오랫동안 함께한 나무가 있다고? 170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느티나무와 가장 닮은 나무는? 172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19 | 서동과 선화 공주 174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마를 '산에서 나는 장어'라고 부르는 까닭은? 178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덩이뿌리 식물로는 무엇이 있을까? 180
다시 읽는 우리 옛이야기 20 | 도깨비 수수께끼 182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잉어는 뿔이 아니라 수염이 난 동물이라고? 186
푸름 박사의 생태 이야기 | 머리에 뿔이 난 물고기는 따로 있다고? 188
찾아보기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