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난중일기에 대한 기자적 시각의 해석에 붙여
1592년 임진년
1월 임진년 정월 전라좌수영 - 연일 보수되는 성벽과 해자
2월 지치지 않는 일 중독자 - 매잡이와 5포에 핀 꽃
3월 거북선 - 천,지,현,황 - 조선의 화포를 품다
4월. 임진왜란의 발발 - 무인지경(無人之境)인 조선의 땅
5월. 옥포에서 건진 네 살 바기 소녀 - 사천의 포구가 적의 피로 물들다
6월. 당포해전, 생환한 울산 여종 억대 - 당항포에 수장된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
7월. 한산 해전, 학이 날다 - 역사에 기록되는 19명의 조선수군
8월. 잃어버린 한가위 - 왜 수군의 본진을 향하여
9월. 부산포 해전, 조선인이 주고받는 화살과 편전 - 남해를 지키는 만호 정운의 혼령
10월 편지 - 벗과 나라를 향한 마음
12월 도탄에 빠진 백성 - 마침내 이별할 가족조차 없다.
1593년 계사년
1월 피난민의 이중성 - 군량이 없으면 승리도 없다
2월 웅포해전 - ‘태산처럼 신중하라’, 그러나 상처 입은 승리
3월 웅포 바다로 뛰어든 사천의 여인 - 한산도에서 맞은 좌수사의 생일
4월 광양 현감, 어영담 - 무너진 울타리, 심장으로 흘러드는 독
5월 떠다니는 수군 사령부(1) - 여인과 뱃놀이를 즐기는 장수
6월 떠다니는 수군 사령부(2) - 풍전등화(風前燈火), 진주성!
7월 한산도, 남해의 화점(花點) - 삶과 죽음, 바다와 하늘이 한 빛인데.
8월 왜국에서 탈출한 제만춘 - 화적과 양민의 차이
9월 병사를 다독이며 - 조선의 정철총통
10월 삼도수군통제사 - 예견된 원균과의 갈등
11월 용감한 3명의 조선 여인 - 외로운 수군, 파직된 광양현감
12월 수군만의 무과 시험 - 전라좌수영으로의 임시 귀환
1584년 갑오년
1월 안팎의 적들 - 두 개의 전염병
2월 길어진 보릿고개 - 인육을 먹는 백성
3월 당항포해전, 왜군 다시 굴속으로 - 조선 백성이 돌아갈 땅은 어느 곳인가?
4월 조선 수군의 무과 시험, 늦깎이 합격생 - 사라진 인재, 새로운 인재, 어영담의 죽음
5월 장마철의 수군 병영 - 허울뿐인 제승방략(制勝方略), 수군의 이중성
6월 농부, 통제사 - 한 숨 돌린 보릿고개
7월 한산도에 온 명나라 수군 장수 - 엄격한 아버지, 맏아들 이 회
8월 전란을 살아가는 조선의 여인들 - 깊어지는 원균과의 갈등
9월 홍패, 조선 수군의 미래 - 장문포로 항진하다.
10월 의병과의 수륙 연합 작전 - 전방의 장수를 끌어내리는 조정
11월 통제사의 심리전, 왜병들의 조선 부대 - 전란 중에 민가에 머무는 장수
12월 수군의 불화 조정에 숨죽인 갈등의 불씨
1595년 을미년
1월 잡혀가는 참모, 늘어나는 정적(政敵) - 흥양현감 배흥립과 순변사 이일
2월 원균, 수군을 떠나다. - 둔전과 고기잡이
3월 대장선이 전소된 충청 수군 - 압송된 이순신, 돌아온 동지사 권준
4월 기효근의 효수령 - 전쟁의 포로들
5월 통제사의 소금장사 - 본가의 화재
6월 생존을 위한 삶, 매춘 - 하루 10홉, 1되의 원칙
7월 동량이 없는 나라 - 쓸개라도 있으면 자진하라!
8월 괴물이 뱉어 놓은 진주성 촉석루 - 전란속의 조선 국론
9월 벗과의 이별, 그리고 유자 서른 개 - 불 타버린 한산도 누각
10월 장수의 조건 - 임진란의 상징물, 왜병이 세운 한산 수루
11월 진중의 왜병들 - 청어, 26만 마리
12월 달려가고 싶은 사람 - 체찰사 이원익, 그리고 어머니
1596년 병신년
1월 전장에서 맺어진 기녀(妓女)의 사랑 - 통제사가 빚는 메주
2월 고향을 그리는 병사들, 다그치는 군기 - 통제사의 부엌일
3월 곤장, 엄격한 형벌의 기준 - 통제사의 화해 방식
4월 초파일, 병영의 연등과 살생 - 어사가 짓는 밥
5월 한산도를 찾아 온 군관 이영남 - 요동치는 부산 왜군
6월 높아진 한산진의 피로도 - 젊은 관리, 신임 남해 현령 박대남
7월 왜란과 민란, 안팎의 혼란 - 왜국으로 가는 통신사
8월 의승장, 의능과 8대 천민(賤民) - 아들과 조카들의 무술 수업
윤8월 육지의 순찰(1) - 울돌목을 바라보다- 헐벗은 백성들
9월 육지의 순찰(2) - 전라도 내륙을 살피다 - 조선의 고아들, 그리고 여진(女眞)
10월 어머니와 보낸 열흘 - 어머니가 짓는 솜옷
12월 불타는 부산 왜영 - 장계 2편
1597년 정유년
1월 충돌한 장계 - 분노한 선조, 급박한 어전 회의
2월 대장선에 갇힌 통제사, 연일 파직되는 수군 장수 - 원균, 수군을 장악하다.
3월 투옥과 형문 - 정탁의 상소, 신구차(伸救箚)
4월 백의종군. - 길거리 조문객들
5월 무너지는 한산진의 기강 - 소복 입은 체찰사
6월 이순신과 권율, 이순신과 원균의 차이 - 무밭에 드리운 검은 그림자
7월 조선 수군의 전멸, 잃어버린 한산도 - 남은 배, 12척
8월 피난민과 어깨를 나란히 한 통제사 - 한가위, 한산섬 밝은 달
9월 명량해전 -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다.
10월 통곡, 셋째 아들 면 - 강막지의 소금
11월 젊은 왜병의 수급 - 명나라 장수의 붉은 비단
12월 상중의 고기 반찬 - 한겨울, 보화도에 울리는 목탁 소리
1598년 무술년
1월 귀신 머리를 흔드는 판옥전선 - 조명 연합수군의 새로운 집결지
2월 고금도, 번성하는 전시(戰時) 경제 - 해로통행첩과 군비의 조달
7월 명나라 도독 진린, 작전의 주도권을 위해서 - 절이도 해전, 무자비한 조선수군
9월 도요토미가 죽다 - 순천 왜성을 틀어막은 조명 함대의 등불
10월 제독 유정, 무산된 수륙병진 - 조선의 바다, 왜군과의 ‘하직 인사’
11월 노량해전, 막다른 길의 처절함 - 조선바다에 계속되는, 대장선의 북소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