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이자 임상심리사인 저자는 “말을 잘하는 것과 마음을 전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심리학적 근거와 상담 사례를 바탕으로 회의, 미팅, 토론, 친목 모임, 소개팅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긴장하지 않고 좋은 느낌의 대화를 나누는 방법을 알려준다.
목차
시작하며. 어떻게 하면 좋은 느낌의 대화를 나눌 수 있을까?
제1장 : 큰일 났다! 이 사람과 무슨 이야기를 하지? : 대화의 어색함을 단번에 해결하는 법
“푸하하”보다 “ㅋㅋㅋ”를 유발하는 이야기를 찾자 : 대화의 소재를 발굴하는 가장 쉬운 방법
관심 없는 이야기가 나오면 ‘감정’을 자극하는 질문을 하자 : 단 무의식적으로 내뱉기 쉬운 부정적인 표현은 주의!
‘난 그런 뜻이 아니었는데…’ 오해는 원래 자주 생긴다 : 오해의 소지는 빠른 스피드로 정정할 것
단체 대화는 ‘과자 따먹기 시합’과 비슷하다 : 대화 속도에 따라가기 힘들 때는 후반부를 노려라
대화 소재가 고갈되면 상대방의 말꼬리를 잡아라 :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위키피디아 질문법’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데”로 시작하는 것은 금물! : 이야기를 ‘용두사미’로 전락시키는 위험한 전략
말실수를 피하는 가장 안정한 방법은 ‘복창’ : 말의 의도를 알 수 없을 때 실수를 피하는 비결
지루한 대화를 일단락 짓는 비장의 무기, ‘자기표현’ : 상대방과 각을 세우지 않고 자기 뜻을 관철하는 법
좀 더 가까워지고 싶다면 ‘샌드위치 질문법’을 사용하라 : 자기도 모르게 속내를 털어놓게 되는 대화 유도
갑작스럽고 개인적인 질문을 피하는 방법 : 어색한 사람과 마주쳤을 때는 먼저 선수를 쳐라
긴장감에 목이 탈 때는 몸을 틀어라 : 5센티미터만 비껴 앉아도 긴장이 풀린다
5~6시간 전의 일을 떠올리면 침묵을 깰 수 있다 : 대화의 물꼬를 트는 ‘중얼거리기’ 기술
알아두면 유용한 대화법 : 조리 있게 말하고 싶을 때는 ‘3×3 법칙
제2장 : 이 사람과 더 가까워질 수 있을까? : 상대방과의 거리를 좁히는 궁극의 대화법
눈을 맞추는 시간은 1~3초면 충분하다 : 들을 때는 30~50퍼센트, 말할 때는 20퍼센트로
즐거운 대화를 위한 흥은 딱 20퍼센트까지만! : 과한 액션이나 반응은 불신을 만든다
부정적인 입버릇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 부정의 말을 긍정의 말로 변환하자
음식, 건강, 날씨, 여행은 대화를 소생하는 단어 : 영화, 독서, 스포츠보다 좋은 대화 소재가 되는 이유
30초 동안 내 이야기를 하면 과묵한 사람의 입도 열 수 있다 : 첫 만남에서 자연스럽게 경계심을 푸는 방법
질문에 길게 답변하기 힘들다면 어미를 ‘~아서/어서’로 바꿔라 : 마음속으로 ‘그리고’를 중얼거리는 것도 효과 만점!
‘열린 질문’으로 대화의 선택권을 넘겨라 : 상대방이 스스로 이야기를 꺼내게 만들기
알아두면 유용한 대화법 : 모르는 분야의 이야기가 나올 때 화제를 돌리는 법
제3장 : 나도 말이 잘 통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 어디서든 이야기꽃을 피우는 9가지 대화 기술
질문을 하되 취조하지 않는다 : ‘듣기가 9할’이라는 말은 도시괴담 수준의 거짓말
‘5W 질문’으로 대화의 물꼬를 튼다 : 말수가 적은 상대방에게 더욱 효과적인 대화 기술
대화 중반에는 ‘감정 질문’으로 분위기를 돋운다 : 시의적절하게 질문 내용을 전환하는 법
‘모방 목창’을 남용하지 않는다 : 좋은 것도 여러 번 반복하면 지루해진다
‘환언 복창’으로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바꿔 말하기 법칙’
‘절반 질문’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낸다 : 상대방을 압박하지 않는 질문법
이야깃거리가 떨어지면 5분 전 이야기로 돌아간다 : ‘화제 전환 기술’로 대화의 막다른 골목을 벗어나라
질문에 답할 때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한다 : 상대방을 위한 ‘대화의 씨앗’ 뿌리기
예상 질문에 대한 답을 내용에 포함한다 :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며 말하기
알아두면 유용한 대화법 : 자신의 말습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법
제4장 : 나와 있으면 즐겁다고 말해줘서 고마워 : 누구와도 마음이 통하는 유형별 대처법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상대와도 잘 통하는 대화 : 어른들이 좋아하는 화제는 건강과 과거 직업
소극적인 사람에게는 꼬치꼬치 캐묻지 않기 : 미약한 반응은 강한 방어의식의 표현
‘감정 레벨’을 잘 조절해야 관계가 좋아진다 : 남성은 높이고, 여성은 낮춰라
좀 더 친해지고 싶다면 ‘공손함’을 덜어내라 : 가까운 사이는 친근한 말을 주고받는다
글쓰기를 통해 ‘잡담력’을 높여라 : 말 잘하는 사람이 재미있는 이유
갑자기 말문이 막혔을 때 시간을 버는 방법 : “○○에 관심이 있군요?”라는 질문으로 역공한다
사람은 자신에게 주도권이 있을 때 대화를 즐긴다 : 어색한 침묵을 잘 빠져나가는 법
설득할 때는 상대방의 이름을 주어로 쓴다 : 원만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부드러운 대화 기술
알아두면 유용한 대화법 : 커뮤니케이션은 ‘단체 종목’이다
나오며. 자신감 있는 대화는 자기 긍정에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