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키츠와 테니슨, 단테 게이브리얼 로제티와 엘리자베스 시덜과 윌리엄 모리스의 시와 함께 윌리엄 새커리, 윌키 콜린즈, 토머스 하디의 소설과 오스카 와일드의 드라마를 라파엘전파 화가들의 회화와 연관 지어서 분석하는 책이다.
목차
목차
?1장
전기 라파엘전파와 19세기 영국문학
전기 라파엘전파
라파엘전파 회화와 문학
?2장
키츠의 『이사벨라; 혹은, 바질 화분』과 라파엘전파 회화
존 키츠와 라파엘전파
보카치오의 이사벨라 이야기와 키츠의 『이사벨라; 혹은, 바질 화분』
로맨스 장르에 담긴 자본주의와 계급사회 비판
존 러스킨과 존 에버릿 밀레이
밀레이의 [로렌조와 이사벨라]
이사벨라와 바질 화분48
윌리엄 홀먼 헌트
헌트의 [이사벨라와 바질 화분]
?3장
키츠의 『성 애그니스제 전야』와 시각예술
키츠의 『성 애그니스제 전야』와 상품에 매혹당한 시선
시각적 언어예술로서 『성 애그니스제 전야』
『성 애그니스제 전야』와 라파엘전파 회화
?4장
키츠의 「무자비한 미녀」, 「레이미어」와 라파엘전파 회화
키츠의 「무자비한 미녀」
키츠의 「레이미어」
[레미이머]와 [무자비한 미녀]: 팜므 파탈에 대한 공포와 매혹의 이중성
?5장
테니슨의 「마리아나」, 「샬롯의 아가씨」와 라파엘전파 회화
앨프리드 테니슨
셰익스피어의 『자에는 자로』
테니슨의 「마리아나」와 빅토리아 시대 여성
테니슨의...?1장
전기 라파엘전파와 19세기 영국문학
전기 라파엘전파
라파엘전파 회화와 문학
?2장
키츠의 『이사벨라; 혹은, 바질 화분』과 라파엘전파 회화
존 키츠와 라파엘전파
보카치오의 이사벨라 이야기와 키츠의 『이사벨라; 혹은, 바질 화분』
로맨스 장르에 담긴 자본주의와 계급사회 비판
존 러스킨과 존 에버릿 밀레이
밀레이의 [로렌조와 이사벨라]
이사벨라와 바질 화분48
윌리엄 홀먼 헌트
헌트의 [이사벨라와 바질 화분]
?3장
키츠의 『성 애그니스제 전야』와 시각예술
키츠의 『성 애그니스제 전야』와 상품에 매혹당한 시선
시각적 언어예술로서 『성 애그니스제 전야』
『성 애그니스제 전야』와 라파엘전파 회화
?4장
키츠의 「무자비한 미녀」, 「레이미어」와 라파엘전파 회화
키츠의 「무자비한 미녀」
키츠의 「레이미어」
[레미이머]와 [무자비한 미녀]: 팜므 파탈에 대한 공포와 매혹의 이중성
?5장
테니슨의 「마리아나」, 「샬롯의 아가씨」와 라파엘전파 회화
앨프리드 테니슨
셰익스피어의 『자에는 자로』
테니슨의 「마리아나」와 빅토리아 시대 여성
테니슨의 「샬롯의 아가씨」와 빅토리아 시대 여성
라파엘전파와 [마리아나]
라파엘전파와 [샬롯의 아가씨]
?6장
남성 화가의 뮤즈와 여성 예술가로서 엘리자베스 시덜
엘리자베스 시덜
라파엘전파 화가들의 뮤즈와 [코페투아왕과 거지처녀]
라파엘전파 회화 속의 시덜과 시덜의 회화
빅토리아 시대 성적 이데올로기의 비판: 시덜과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시
?7장
빅토리아 시대의 이혼 논쟁: 테니슨과 모리스의 기네비어 왕비와 모리스의 [기네비어 왕비]
윌리엄 모리스
토머스 맬로리의 『아더 왕의 죽음』과 기네비어 왕비
테니슨과 모리스의 기네비어 왕비
기네비어 왕비와 라파엘전파 회화
?8장
로제티의 그림 시와 후기 라파엘전파의 팜므 파탈
단테 로제티와 후기 라파엘전파
그림 시 [레이디 릴릿]과 「육체의 미」, [시빌라 팰미페라]와 「영혼의 미」
?9장
빅토리아 소설에 투사된 라파엘전파의 팜므 파탈 이미지: 『허영의 시장』
윌리엄 새커리
『허영의 시장』
가정의 천사 아멜리아 세들리와 조지 엘가 힉스의 [여성의 임무]
팜므 파탈로서 베키 샤프
천사와 악녀의 유대
신비한 변신의 능력을 지닌 인어로서 팜므 파탈
?10장
『흰옷을 입은 여인』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라파엘전파 회화
윌키 콜린즈
『흰옷을 입은 여인』
로라와 마리안: 가정의 천사와 신여성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라파엘전파와 『흰옷을 입은 여인』
?11장
라파엘전파 회화와 타락한 여성 테스
토머스 하디
타락한 여성과 『더버빌가의 테스』의 현대성
『루쓰』
『더버빌가의 테스』
빅토리아 시대 수동적 여성과 현대 여성의 성적 능동성 사이에 놓인 테스
포드 매독스 브라운
타락한 여성과 라파엘전파 회화
?12장
라파엘전파와 양성적 신여성 쑤 브라이드헤드
『무명의 주드』
신여성 쑤 브라이드헤드
빅토리아 시대 결혼제도의 비판과 현대적 남녀관계의 모색
에드워드 번 존스와 유미주의적 라파엘전파
『무명의 주드』와 라파엘전파 회화
?13장
라파엘전파와 세기말 유미주의: 『살로메』
오스카 와일드
오스카 와일드의 『살로메』
“살로메”를 주제로 한 그림들
오브리 비어즐리337
오브리 비어즐리의 『살로메』 삽화
라파엘전파와 현대대중문화
【부록1】 그림목록
【부록2】 참고문헌
【부록3】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