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부 왜 포퓰리즘이 문제인가?
1장 포퓰리즘, 민주주의, 민중 / 진태원
1. 문제로서의 포퓰리즘
2. 포퓰리즘, 민주주의의 타자인가 민주주의의 조건인가?
3. 포퓰리즘-민주주의를 위한 어떤 조건?
4. 포퓰리즘을 어떻게 옮길 것인가?
2부 라틴아메리카의 포퓰리즘
1장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을 다시 생각한다_민중 개념의 재구성과 급진민주주의 / 김은중
1. 들어가는 말
2.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 등장의 역사적 배경
3. 포퓰리즘, 민중, 정치적 리더십
4. 결론에 대신하여
2장 살리나스의 네오포퓰리즘과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 논쟁 재고 / 박구병
1. 들어가며
2. 살리나스의 등장과 포퓰리즘 비판
3. 국민연대프로그램의 특성
4. 살리나스의 네오포퓰리즘-신자유주의 시대의 포퓰리즘
5. 맺는말
3부 유럽의 포퓰리즘
1장 프랑스 민족전선(FN)과 포퓰리즘 그리고 파시즘 / 김용우
1. 르펜에서 르펜으로
2. “민족선호”-민족전선의 이데올로기
3. 프랑스 파시즘 논쟁과 포퓰리즘
4. 포퓰리즘과 ‘인민’에 대한 혐오
5. 맺음말-“니콜라 르펜”
2장 ‘정상 국가’를 향하여_이탈리아 포퓰리즘의 실험 / 장문석
1. 글을 열며
2. 파시스트 포퓰리즘
3. ‘포스트모던’ 포퓰리즘
4. 글을 맺으며
3장 동유럽 포퓰리즘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오승은
1. 서론-“동유럽 포퓰리즘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역사적 배경-‘절름발이’ 사회주의 근대화와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민중
3. 신자유주의화-‘반정치의 정치’와 ‘다수의 빈곤화’
4. 동유럽 포퓰리즘의 교차하는 ‘명과 암’
5. ‘직접민주주의’와 ‘권위주의적 선동 정치’, 두 가지 가능성 사이에서
4부 한국 정치와 포퓰리즘
1장 포퓰리즘의 두 가지 해석_대중영합주의와 민중 민주주의 / 서영표
1. 머리말
2. 포퓰리즘 논쟁의 사회적 조건
3. 정치의 탈정치화라는 역설
4. 진보, 아직은 부족한 이름
5. 포퓰리즘에 내포된 민중주의-민중적 민주주의
2장 신자유주의시대 한국의 포퓰리즘_김대중, 노무현정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이광일
1. 들어가며
2. ‘비(非)신자유주의’, ‘포퓰리즘’ 규정의 정치적 기원
3. 포퓰리즘의 진언(眞言)-대중의 정치적 호명
4. ‘신자유주의 포퓰리즘’, ‘민주주의자들’에 의한 대중의 정치적 대상화
5.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한국 포퓰리즘의 정치적 맥락
초출일람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