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한국문학의 미의식과 『금오신화』
제2장 탐색과정으로서의 유·불·도
1. 유(儒), 합리적 자각과 일리(一理)의 비극
2. 불(佛), 전체성의 돈오와 연기적 운동
3. 도(道), 대칭적 양생과 치유적 상상력
제3장 상위(相違)와 소통(疏通) 사이-탐색 공간의 창조
1. 상위(相違)에서 소통(疏通)으로의 탐색방식-유(遊)
2. 문학적 탐색 공간의 창조-경계역
제4장 유(遊)의 변주, 『금오신화』
1. 「만복사저포기」의 도(禱)와 생명 치유
「만복사저포기」,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정체 알기와 마음 열기-양생과 여인
구제(救濟)와 수선(修仙)-천도제와 ‘입산채약’
비극성을 넘어서, ‘부지소종’과 ‘관계의 윤회’
2. 「이생규장전」의 유(踰)와 삶의 성장
인생서사로 접근하는 「이생규장전」
「이생규장전」이 노정하는 욕망들
「이생규장전」의 치유적 독법
담장 너머 치유의 세상을 엿보다
3. 「취유부벽정기」의 취(醉)와 자아 합일
새로운 탐색 공간의 탄생
경계의 양상-취(醉)·유(遊)
공간경계역-부벽정
「취유부벽정기」의 미감과 지향
환상적 비감을 통한 지우(知友)와의 합일 소망
4. 「남염부주지」의 몽(夢)과 신념 모색
사상의 전환과 혼종의 시대
신념부재에 대한 문제제기-「남염부주지」
유․불․도․무(儒彿道巫) 사상의 경계역-염부주
자기 대화를 통한 신념 모색의 과정-박생과 염왕
사상전환기 지식인의 자화상
5. 「용궁부연록」의 비(飛)와 세계 합일
용궁에 초대 받은 한생을 보는 시각
제의적 경계역, 용궁
‘신념’들의 공존과 균형을 위한 성대한 제의, 용궁 잔치
제5장 김시습의 유(遊), 도덕의 해체와 윤리의 탐색 과정
참고문헌
부록-『금오신화』 관련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