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 이병한이 2012년부터 「프레시안」에 연재한 칼럼 '동아시아를 묻다'를 바탕으로 한 책이다. 패기 넘치는 소장학자답게 동서고금의 역사를 종횡무진, 거침없이 융합하여 시대인식을 뒤집는 파격적 사유를 선보인다.
목차
여는 글- 전환시대에서 반전시대로
1부 천하 : 중화세계의 논리 01 천하와 복합계 02 진화하는 일국양제 _홍콩 03 제국의 진화 _대만 04 오키나와에서 류큐로 _오키나와 05 오래된 미래 _티베트 06 두 개의 하늘 _신장 07 네트워크 경제 _광둥 08 ‘문명의 충돌’ 09 대동아와 대중화 _일본 10 붉은 제국 _인도차이나 11 동방의 무인 _베트남 12 ‘만달라’ 질서 _아세안 13 유라시아와 북방 _러시아 14 구세계의 갱신 15 미국식 조공 체제? 16 중화세계의 근대화 17 재균형 : 남해(南海)와 동해(Bie^n Do^ng) 18 재균형의 축 (1) : 실크로드 19 재균형의 축 (2) : 유라시아 20 재균형의 축 (3) : 브릭스 21 유라시아의 세기
2부 덕치 : 동방형 민주정치의 논리 01 정치유학 : 제국의 정치철학 02 동양 전제와 동방 민주 03 정치와 덕치 04 혁명에서 자강으로 _중국 05 중국공산당 : 거대한 학습조직 _중국 06 아베 신조 : 반동과 반전 사이 _일본 07 오사카 : 일본의 갈림길 _일본 08 현자생존 _캘리포니아 09 영묘와 문묘 _베트남 10 지엠을 위한 변명 _베트남 11 표류하는 대만 민주 _대만 12 중국몽과 민주몽 _홍콩
3부 동학 : 서학을 품어 동학으로, 새 학문의 논리 01 제국의 귀환 02 동학 : 2014, 갑오년 역사논쟁 03 동아시아학 : 동북아와 동남아 04 동아시아 문명 : 개화와 심화 05 동아시아사 : 1894, 동학과 서학 06 동방 사상과 지구 이론 07 기우뚱한 분단체제 08 태평양 : 리오리엔트 09 포스트 3. 11 _일본 10 악우(惡友) : 천 년의 유산 _일본 11 황제와 천황 _일본 12 동방의 귀환 _중국 13 ‘중화’와 ‘진보’ _중국 14 왜 유라시아이고, 어째서 ‘초기 근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