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만원 세대> 선언 후 10년 동안 벌어진 한국 경제 폐단과 위기에 놓인 시민 경제에 대해 ‘왜 이러한 사태가 벌어졌는가?를 묻고 답하는 경제학자 우석훈의 치밀하고 날카로운 분석과 진단이 담겨 있다. 또한 앞으로 10년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과제를 제시한다.
목차
프롤로그_ 희망의 경제학은 사라지고 절망의 시대만이 남았다
1장. 청년은 여전히 홀로 싸운다 <연애의 목적>, <우아한 인생>, <관상> 2007년은 정말 아름다웠을까 한국에서 청년은 늙지 않는다 혼자 치르는 전쟁 살아 있으니까 아름다운 거야
2장. 살아 있는 것의 경제학 살아 있다는 것에 관한 고찰 경제학을 바라보는 관점 숲에서 경제를 읽는다 숲의 천이도 때론 실패한다 경제가 늙어 간다는 것 늙은 숲이 된 한국 경제
3장. 위기를 불러온 지난 10년 기울어진 운동장과 50대의 의미 MB의 시간, 사기꾼의 시대 박근혜의 시간, 판도라의 시대 죽은 것들의 경제학 무관용의 시대 산업의 몰락이 가져온 위기
4장. 찬란함의 지속가능성 꽃은 화려할 때 지는 기야 이민자 규정 변화가 가져올 나비효과 삼성과 청년, 시대의 갈림길에 서다 청년에게 미생이라는 딱지를 붙인 나라 청년 완전고용은 정말 불가능한가 청년에게 상냥한 기업 청년을 위한 이중배당이 답이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영역을 주목한다 청년이 살 공간을 고민하다
5장. 살아 있어 행복한 거야 삼각돛을 아는 나라와 모르는 나라 최저임금을 올리는 나라와 동결하는 나라 최저임금과 기본 소득 청년이 지내기 좋은 동네 권문석의 꿈 416만 원의 의미
에필로그_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한 세상을 기대하며
서가브라우징
대한민국 위기와 기회의 시간 2022 / 지음: 선대인 / 지와인
대한민국 위기와 기회의 시간 2022 / 지음: 선대인 / 지와인
새로운 세상을 공부하는 시간 :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열세 가지 지적 탐험2019 / 지음: 손승현 / 더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