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추천의 말
한국어판 발간에 즈음하여
서문
제1부 사회·역사적 배경
제1장 한국인의 시각에서 본 국제 입양 / 김동수
제2장 국제 입양의 기관화: 미국 내 한국인 입양의 역사적 기원 / 캐서린 시니저 초이
제2부 새로운 가족의 형성
제3장 청소년기 인종 간 입양아동에 대한 장기 추적 조사 / 윌리엄 피켈먼
제4장 한국을 선택하기: 까다로운 입양부모에게 ‘다문화주의’를 팔다 / 크리스티 브라이언
제5장 한국인 입양인의 민족적 정체감 형성 / 허남순
제6장 자녀 양육에서 인종 및 문화가 지니는 중요성에 대한 인종 간 입양부모들의 생각 / M. 엘리자베스 봉크, 윤성현, 박완수, 리처드 R.마사티
제3부 한국인 입양에 대한 성찰
제7장 상실에 대한 기억: 해외로 입양된 한국인들의 한국인 됨 / 김 엘리나
제8장 아이를 키우지 못한 엄마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의 생모들 / 김호수
제9장 인종, 정체성, 아시아인 입양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 지앤빈 리 샤오, 미아 투앤
제10장 침묵의 수의(壽衣) 걷어 올리기: 진리, 적법성, 정의를 찾는 한국인 입양인들 / 레버커 허디스
제4부 출생국의 관점
제11장 한국의 아동복지와 입양의 최근 추세: 도전과 앞으로의 방향 / 이봉주
제12장 해외 입양이 한국 내 입양과 아동복지에 미친 긍정적 영향 / 배태순
제13장 한국인 입양 문제와 한국 대중문화에 재현된 입양인 / 토비아스 휘비네트
제5부 전 세계적 전망
제14장 정체성과 국제 입양아: 호주의 베트남 입양인과 한국 입양인 비교 / 킴 그레이
제15장 네덜란드 한국 입양인에 대한 추적 연구: 유아기에서 중간 유년기까지 / 페미 유퍼, 마리누스 반 이젠도른
제6부 실천을 위한 함의
제16장 한국인 입양아의 심리적 행복을 예측하기 위한 구조방정식모형의 활용 / 윤동필
제17장 아동 관련 문헌이 아시아 입양인의 입양을 어떻게 맥락화하는가 / 캐슬린 자숙 버퀴스트
제18장 미국 내 한국 입양인의 사회심리적 세계의 재건: 새로운 의미를 찾아서 / 대니얼 B. 리(이부덕)
제7부 참고 자료
제19장 한국인 국제 입양 관련 참고문헌 / 재닛 현주 클라크
결론 / M. 엘리자베스 봉크, 캐슬린 자숙 버퀴스트
부록
옮기고 나서
펴낸이의 후기
필자 소개
찾아보기